원문정보
The Foundation of Support of Kim Jun’s Political Power(金俊政權) through Wood Letters(木簡) of Mado Ship No.3(馬島3號船)
마도3호선 목간을 통해 본 김준정권의 지지기반 - 삼별초ㆍ중방 관련 목간 분석을 중심으로 -
초록
영어
The chronology of wood letters founded in Mado Ship No.3 corresponds to 1260~1268. This chronology was relevant to Kim Jun(Goryo military ruler)’s rule. A number of phrases in wooden letters could explain the character of Kim Jun’s political power.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ose phrases were followings: First, “Wusambeonbyulcho(右三番別抄)” was thought that it was a term, equal to the whole scale of Wubyulcho(右別抄). In this way, “Wusambeonbyulcho” implied that Wubyulcho was composed of 3 Byulcho(別 抄) units, and Sambyulcho(三別抄) had a large of military strength. Second, “Wusambeonbyulchodoryungsirang(右三番別抄都領侍郞)” was interpreted to mean to Doryung(都領) general of Wubyulcho. In Kim Jun’s rule, Baek Youngjeong(白永貞) and Yi Je(李禔) etc, were estimated as a Wubyulcho general. Third, “Jungbangwubeon(重房右番)” was grasped to Wubeon(右番) of Jungbang(重房). Through this understanding, we can secure the fact that Jungbang was divided to Wubeon and Jwabeon(左番) in Kim Jun’s rule. Also, it was construed that the function of Jungbang was recovered intactly in the Kim Jun’s political power. Fourth, “Kimsirang(金侍郞)” was analyzed to Kim General(金將軍) and he was assumed to link with Kim Jun’s lineage. In this point of view, Kim General was considered of one out of Kim Gi(金祺) and Kim Jeong(金靖) who were birth of the second wife of Kim Jun.
한국어
마도 3호선에서 발견된 목간의 편년은 넓게 보면 1260~1268년이고 보다 좁혀 보면 1264~1268년이며, 이는 高麗武人政權중에서 金俊政權 期(1258~1268)에 해당한다. 목간에서는 김준정권의 성격을 해명할 수 있 는 중요한 글귀가 적혀 있다. 그러한 글귀들은 “右三番別抄”, “右三番別 抄都領侍郞”, “重房右番”, “金侍郞” 등이며, 이러한 글귀들을 통해 필자 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우삼번별초”는 우별초 중 제3번째 별초가 아니라 우별초 전체 규모를 나타내는 용어라고 보았다. 우삼번별초는 우별초가 3개의 별초 부대로 구성되었고 삼별초 수효가 많았음을 알려준다. 다음으로, “우삼 번별초도령시랑”은 우별초의 도령 장군을 의미한다고 이해하였다. 김준 정권 당시 우별초 장군으로는 白永貞, 李禔, 康保忠등이 그 후보로서 지목되었다. 한편, “중방우번”은 중방의 右番으로 파악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김 준정권 당시 중방이 우번과 좌번으로 분리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김준정권 시기에 이르러 초기 무인정권(이의방~이의민정권) 시절 의 중방의 기능이 다시 회복되었다고 해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김시 랑”은 ‘金將軍’과 같은 의미이며 김준의 측근에서 찾아야 한다고 보았 다. 이런 견지에서, 김장군은 김준의 둘째 부인 소생인 金祺․金靖중 한 인물임이 확실하였다.
목차
Ⅰ. 序論
Ⅱ. 右三番別抄에 대한 해석
Ⅲ. 金俊政權과 右三番別抄都領侍郞
Ⅳ. 金俊政權과 重房右番
Ⅴ. 金俊政權과 金侍郞
Ⅵ.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