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맹자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비교 이해-『맹자』와 『군주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Understanding of Comparison between Mencius and Machiavelli‘s Kingship

안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comparing Machiavelli to East Asian thought, he has usually been likened to Han Fei Tzu. In this article, however, since a point that comparis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s recognized as symbols of premodernity and modernity respectively signifies that the latter recalls Machiavelli and the former reminds Confucian ideology, not School of Law particularly in this case and, if so, Mencius was the very person who systematized 'Confucianism as a political idea,' it intends to compare Mencius' political idea. In addition, it is because this study considers that comparison with Mencius, a universal byword for relationistic coexistence theory, is more significant because there are even research results that approach Machiavelli with the logic of relationistic coexistence recently. The result of comparing discussions of those two with The Prince and Mencius at the center, both show similarities that they stressed importance of 'politics' and its 'use of force' and put emphasis on leadership of a man with political power. They both heavily emphasized 'political ethics' as well. Machiavelli stressed Christian religious ethics and politics should be separated while the political ethics were still emphasized here and there. With the degree of relationist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was a huge difference. Mencius' logic of 'relationsitic coexistence' is far more active and explicit than that of Machiavelli. Machiavelli is 'relatively' more 'independent and oppositive' than Mencius. To speak in Machiavelli's manner, they were different in that what Mencius mentioned was a lot about a hereditary monarchy while Machiavelli was basically about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newborn monarchy and he aimed at independence of secular political order from conventional Christian one.

한국어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 1469-1527)를 동양사상과 비교할 경우 대개 한비자(韓非子)에 비견해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맹자(孟子, B.C. 372-289)의 군주론을 비교, 이해하였다. 흔히 동/서양의 대비는 그것이 각각 전근대와 근대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특히 후자는 마키아벨리를, 전자는 법가가 아니라 유가의 공맹(孔孟)을 떠올리는데, 때문에 유교정치사상을 체계화한 맹자의 정치사상을 비교하고자 한 것이다. 『군주론』과 『맹자』를 중심으로 그 군주론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간본성론에 대해서는 상이한 인식을 보였음에도 불구 나머지 ‘현실’, ‘물리적 폭력’, 이상적인 군주의 정치, 인민과 군주의 관계, 운명과 정치의 관계, 비루트와 덕 및 정치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같이한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이는 기존의 인식, 곧 마키아벨리는 정치와 도덕을 분리하였고, 맹자는 윤리주의 중심의 정치를 바라보았다는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마키아벨리는 ‘중세도덕’과 ‘정치’를 ‘분리’시킨 반면 나름의 ‘정치도덕’ 내지 ‘정치윤리’를 ‘중시’하였다. 맹자 역시 ‘초월적 존재’의 ‘주재’나 그에 기초한 윤리관이 ‘아니라’ 인간의 정치적 행위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통한 민생의 구현과 이에 기초한 윤리나 도덕질서 구현을 주창하였다는 점에서 양자는 유사하다. 다만 『군주론』에만 국할 경우, 마키아벨리의 그것보다 『맹자』의 논의가 훨씬 더 위민(爲民)과 민본(民本)의 성격이 강했다. 건국과 치국, 전쟁의 모든 명분에 있어서 맹자는 강하게 민생, 위민, 민의를 중시한 반면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판단과 선택에 위임된 성격이 더 강하였다고 하겠다

목차

<논문 요약>
 1장. 들어가는 말
 2장. 군주론 논의의 배경적 인식
  1. ‘현실’ 및 ‘현실인간’에 대한 인식
  2. 인간본성론, 그리고 ‘사실’과 ‘당위’
 3장. 이상적인 군주정치와 인민관
  1. 이상적인 군주의 정치
  2. 군주-인민 관계에 대한 인식
 4장. ‘운명’과 ‘덕’, ‘물리적 폭력’ 그리고 정치
  1. ‘운명(fortuna)’과 정치
  2. 비루트(virtù)와 덕(德), 그리고 정치
  3. ‘물리적 폭력’과 정치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외순 Ahn, Woe-soon. 한서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