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楊平地域 亭子立地의 傳統環境分析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Traditional Geographic Position Environment of Pavilions in Yangpyeong Area

양평지역 정자입지의 전통환경분석

박정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four pavilions located in Yangpyeong that have almost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the Joseon Dynasty`s are survey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of traditional geographic position environment. An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with a theory of topographic situation(形勢) and Li & chi(理氣) in feng shui, common factors among them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eng shui features of the four, their geographic position using water, wind and surroundings is focused. Considering to connect feng shui features with the pavilions, the shape of ground(形) is the space formed by walls and landscape factors which is a central space of pavilion architecture. And the vigor of ground(勢) is natural scenery surrounding the pavilion. With the ideological features of feng shui, following terms are applied to study. First, because pavilion is a space for rest and entertainment for a little while which consists of unstable factors, stable factors may be inversely noxious to pavilion users. Second, pavilion should be on the place maximizing yang(陽) energy by wind and water. Third, the two functional factors for location selection for pavilion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mightiness that causes excitement and douceness that causes relaxation. Fourth, the location of pavilion has close relation with an idea of seclusion life of Confucianist. Feng shui was a crucial factor for location selection of pavilion making exquisite harmony between yin(陰) and yang(陽), front and back, height and lowness, deepness and shallowness and dynamic and stillness etc.

한국어

본 연구는 강변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비교적 자연풍광을 보존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선시대 亭子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양평지역의 4개의 亭子 立地를 전통적 입지환경인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亭子의 立地를 形勢的 관점과 이기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어떠한 공통점이 도출되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풍수적 특징을 바탕으로 정자입지를 바람과 물 그리고 周邊景觀을 活 用한 立地로 분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수적 특징을 亭子와 연관시키면 形은 亭子 建築의 기본이 되거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담이나 조경행위를 통해 얻어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勢는 亭子를 둘러싼 주변의 산수와 경관이 해당한다. 이러한 풍수적 특징을 반영하고 여기에 더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반영하였다. 첫째, 정자는 잠시의 休息과 遊興의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 불안정한 요소들이 조합되어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공간이 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요소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둘째, 亭子의 立地는 바람과 물을 통한 陽의 성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셋째, 亭子의 立地는 흥분작용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强함과 차분함속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서 강 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넷째, 亭子의 立地는 風光이 강조되는데, 여기에는 유학자들의 은둔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다. 風水는 陰과 陽 그리고 앞과 뒤, 높고 낮음, 깊고 얕음과 動과 靜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立地 的 구성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序論
 Ⅱ. 亭子建築 立地의 理論的 考察
 Ⅲ. 楊平地域 亭子立地의 事例分析
  1. 形勢的 特徵分析
  2. 理氣論的 特徵分析
 Ⅳ. 楊平地域 亭子立地의 特徵分類
  1. 바람의 시원함을 이용한 立地
  2. 물 감상 최적의 立地
  3. 周邊景觀을 活用한 立地
 Ⅴ. 結論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해 Park Jeong Hae. 한양대 공학대학원 강사, 건축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