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三國史記』의 文學史的 性格과 意味

원문정보

The nature and meaning of Samguksagi by seen on literary history

『삼국사기』의 문학사적 성격과 의미

허원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on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bout Samguksagi. I approached to literary history by three perspectives: language and characters, literary works, humans. My research came to the conclusion of the next. In Samguksagi, the ancient heritage of oral literature cleanup by the medieval Chinese literature. In this process, Korean Chinese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a standard of various writing style. This is an opportunity to increase international statur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Samguksagi, numerous literary works were published. It is the myth of National Foundation, gyosul literature of various writing style, and a little bit of the lyric poetry. In here, Mythical characteristics was faded and the objectivity and realism were strengthened. Also the story of ordinary people to succeed and defeat the heroes have emerged. This is revealed the signs of medieval literature. In Samguksagi, King Munmu, King Euija, King Bojangwang were heavily represented. Through it, in the viewpoint of medieval values​​, and It was certainly emphasized the historical lesson. Also Kimbusik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bjects with an emphasis on the Kimyooshin. And he re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lineage, such as Kangsu, Seolchong, Choichiwon. By this way, he highlighted on the main professional bureaucratic writers.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언어문자, 문학작품, 인간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삼국사기 』의 문학사적 성격과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첫째,『삼국사기 』는 고대 구비문학 시대의 문학 유산을 중세의 동아시아 한문학 시대의 자산으로 정리하고, 우리 중세 한문학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傳, 史論, 表文등 다양한 한 문 문체와 그 전범을 확립하여 고려 한문학이 중국의 한문학에 비해 손색이 없음을 증명했다. 또한 우리 한문학이 동아시아 문명공동체에서 국가의 위신을 세우고 국익을 도모하는데 크게 기여했음 을 밝혔다. 둘째, 『삼국사기 』에 수록된 작품들 중에 중요한 것은 건국신화를 비롯한 서사문학과 여러 가지 다양한 문체의 교술문학, 그리고 약간의 서정시이다. 고대의 건국신화는 『삼국사기 』 안에서 신 화성이 탈색되고 중세적 객관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패배하는 영웅과 성공하는 보통사람의 이야기 가 등장하면서 중세의 서사문학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주었다. 傳, 史論, 寓言등의 교술 문학 작품은 넓고 다양하게 나타나며, 중세적 성격을 잘 반영한다. 서정시는 많지 않으나 중세의 징후는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삼국사기 』에서는, 중세시대의 가치관에 의거하여, 수많은 인물들을 형상화했다. 왕으로 는 통일군주인 문무왕과 망국의 군주인 보장왕과 의자왕을 비중 있게 기술하여, 칭송과 경계의 뜻 을 확실히 하였다. 그리고 신하인 김유신을 왕보다 많은 분량으로 기술하여 왕보다 신하가 중요해 질 수 있는 시대가 되었음을 알렸다. 또한 강수, 설총, 최치원과 같은 인물들의 계보를 다시 정리하 여 한문학 능력을 지닌 중세의 전문문인관료들을 새로 조명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한문 문체의 전범 확립
 Ⅲ. 문학 작품의 성격
 Ⅳ. 인물의 형상화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원기 Heo Weon-gi.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