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조선조 <노자> 주석은 주자성리학이 절정에 오름에 따라 그 형이상학적인 기반을 가지고 치열하게 정쟁을 벌 이는 것에 대한 반성 곧 율곡 이이의 <순언>에서 시작된다. 이후 <노자> 주석은 서계 박세당의 혹독한 성리 학 비판인 <신주도덕경>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컨대 보만재 서명응의 <도덕지귀>는 내단사상⋅ 상수학 등으로, 연천 홍석주의 <정로>는 주자성리학에서 성리학을 제외하고 주자학만으로, 초원 이충익의 < 초원담로>는 유가가 아닌 도가의 시각으로 <도덕경>을 주석하였다. 이충익이 독존유술의 시대에 <노자> 주석에 유가가 아닌 도가의 시각으로 통치이데올로기를 부정했다는 것 은 경이로운 일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그 바탕이 되는 이광려의 선행작업 곧 <독노자오칙>이 있다. 이광려는 <노자> 1장⋅2장⋅39(9)장에서 필요한 구절들과 논어에서 공자의 미생고 비판 구절을 가지고 도가의 시각 으로 유학의 ‘이름’[名:文]을 비판하는 동시에 무위 등을 압축하여 설명했다. 이충익이 <노자> 전체를 도가의 시각으로 주석할 수 있던 것은 <독노자오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어
在朝鮮時代, 對於<老子>的註釋, 隨着朱子性理學的最高潮發展, 進一步展開了. 特別從栗谷李珥的<醇言>, 開 始涉及形而上學的基盤問題. 由是以後, 對於<老子>的註釋, 經過對性理學堅持極烈批判的態度之朴世堂的<新 注道德經>, 表現了多樣狀態. 例如, 保晩齋徐命膺的<道德指歸>, 用以內丹思想⋅象數學註釋了<道德經>; 淵泉 洪奭周的<訂老>, 只用以朱子學註釋了<道德經>; 椒園李忠翊的<椒園談老>, 用以道家的觀點註釋了<道德經 >. 其中, 在性理學獨尊的時代思潮下, 李忠翊的『椒園談老』, 旣以道家的觀點註釋『道德經』, 又用他批判了當時 的國家統治理念. 此乃是可謂特別驚異之事. 然而, 在李忠翊的『椒園談老以前, 旣又有『椒園談老』思想的基 盤的著述, 此就是李匡呂的「讀老子五則」. 李匡呂在道家的觀點, 用『老子』1章⋅2章⋅39(9)章等諸句與『論語』中孔子批評判微生高的句來, 批判儒家的名 分論, 而且與此同時强調的說明了道家的無爲槪念. 由此觀之, 李忠翊的『椒園談老』, 用以道家的觀點註釋『道 德經』的可能根底, 蓋以旣有李匡呂的「讀老子五則」.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讀老子五則」의 구성과 내용
Ⅲ. 이광려의 노자관
1. 이광려의 『도덕경』해석
2. 공자의 미생고 비판 원용
Ⅳ. 「독노자오칙」과 『초원담로』와의 관계
Ⅴ. 끝맺는 말
<참고 문헌>
<中文提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