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철학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ademic View and Learning of Kim Won Haeng in Seoksik Seowon

김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paying respect to ancient sages of Seoksil Seowon that was a representative seowon of Seoin Noron fac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nd examine the learning and academic view of Kim Won Haeng. It was around 1745 that he moved to Miseum village in Yangju, Gyeonggi-do began meeting people and learning in Seoksil Seowon after a period of retirement focusing on studying in Chungju giving up a government position after the massacre of scholars in Sinim (Sinimsahwa). As people know, his family was originated from Andong in Yeongnam area and moved to Seoksil in Yangju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His descendants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lan through marriages with economic and political powers. The clan began to grow as one of representative familie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from the period when Kim Sang Yong who served as a serious statesman in the period of King Injo and committed suicide in Ganghwa Island during Byeongjahoran (the Manchurian Invasion of Korea in 1636) and Kim Sang Heon who suggested to reject making peace with Qing Dynasty. There was a time that Seoksil Seowon was criticized as a family shrine of Andong Kim clan because the seowon in which the mortuary tablets of Kim Sang Yong and Kim Sang Heon had been enshrined also preserved the mortuary tablets of other member of the clan including Kim Su Hang, Min Jeong Jung, Lee Dan Sang, Kim Chang Hyeop, Kim Chang Heup, Kim Won Haeng, Kim I An, Kim Chang Jip and Kim Jo Soon. However, no one denied the significance of paying a tribute to the royalty of Kim Sang Yong and Kim Sang Heon regardless of factional differences. There is no doubt that Seocksik Seowon was one of the most famous seowons in Gyeonggi-do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aying respect to the achievement of ancestors, teaching local students and providing a space where philosophical debates took place.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후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인 서인 노론계 서원인 석실서원(石室書院)의 건립과 추배(追配) 과정, 그리고 석실서원에서의 김창협(金昌協)과 김창협(金昌協)의 강학 활동에 대해 간략히 고찰하고, 신임사 화(辛壬士禍)로 인한 가화(家禍)의 충격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청주(淸酒)에 은거하면서 학문에만 전념하던 김 원행(金元行)이 1745년을 전후로 경기도 양주의 미음(渼陰)으로 이거하여 석실서원을 왕래하면서 강학을 재 개한 그의 강학 활동과 실심(實心)으로 대표되는 그의 학문관을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김원행의 가문은 영남인 안동(安東)이 본거지이지만, 16세기 중반 경기도 양주 석실(石室)로 이 거한 뒤 그의 후손들은 재경(在京) 사족(士族)들과 혼인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며, 조선후기 대표적인 문벌(門閥)로 알려지게 된 것은 인조(仁祖) 대 서인(西人)의 중신(重臣)으로 활동하다가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 강화도에서 자결한 김상용(金尙容)과 주화론(主和論)을 배척하고 척화신(斥和臣)으로 활동한 김상헌(金 尙憲)대부터이다. 김상용과 김상헌을 배향(配享)한 석실서원이, 그 뒤 김수항⋅민정중⋅이단상을 추배(追配)하고, 이어 김창협⋅김 창흡⋅김원행⋅김이안⋅김창집⋅김조순을 추가 배향함으로써 안동김씨 일문(一門)의 사당이라고 비난을 받기도 하였으나, 김상용과 김상헌의 충절(忠節)을 기리는 데 있어서는 당색(黨色)을 초월하여 이견이 없었으며, 양 주를 비롯한 경기 일원의 유림(儒林) 근거지로서 선현(先賢)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던 경기지역 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또 낙론(洛論)의 이념적 공간으로 그 기능을 했다고 하겠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석실서원의 건립과 그 위상
 Ⅲ. 김원행의 학문과 강학활동
  1. 김원행의 학문관
  2.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규 Kim, In-Gyu. 영산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