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elf-sustainable Growth of Korean Social Science : Centering on the Present Ori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to seek measures to br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nto the present ultimately in order for the Korean social science to have self-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entual purpose of examining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 thoughts is to obtain a present-oriented message - no matter what form it takes - from the ideas. However, studies on these political thoughts that have been conducted up to now have not shown satisfactory result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 researched the existing historiographic efforts to trace back related studies; for the efforts made in the pre-modern time to trace back the past political thoughts or intellectual heritag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of Kim Bu-Shik was examined; for the transition era into the modern times, Yoo Gil-Jun and Ahn Hwak's efforts were studied; and, for the efforts made until today, the modern-style research methodological arguments toward the traditional Korean political thoughts of the pre-modern era were researched. And the measures to apply the Korea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in the present times were, then, provided into two sections - introduction and itemized discussion. The introduction mainly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mon critical minds toward the modern political thought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works of traditional political ideologies - yet with the point that these should be possible under th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traditional thoughts - and of efforts to offer the results and lessons of the studies on traditional political thoughts as alternatives or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in a more active way. The itemized discussion provided the necessity of studies on the following matters: core concepts reflected generally in the political phenomena now and then, the main political thinkers, the recognition of main political subjects including kings and prime ministers, their political education through Kyungyon and Seoyon (royal education especially for those soon to be kings), Hyanggyo (national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ungkyunkwan (the highest-level education organization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Seowon (private Confucian high schools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tc., political measures such as Confucian governing law and manners, the political ideological stat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s as turning point, and the logic of tension, conflict, and co-existence during the transition.
한국어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그것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현재적 메시지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전통 정치사상 연구는 이 점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과학의 자생적 발전을 위해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現在化, the present orient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지금까지 진행된 그것의 당대화를 위한 기존의 연구사적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전까지의 정치사상 혹은 지적유산들을 당대화하려는 노력으로서 근대 이전의 것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근대로의 이행기의 성과로는 유길준과 안확의 노력을, 현대 이후의 노력에 대해서는 근대 이전의 전통 한국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연구방법론적 고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 시점에서 한국 전통 정치사상을 현재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총론적으로는 현대 정치사상의 보편적 문제의식과 전통 정치사상의 공유 및 소통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그러나 이는 반드시 전통 사상의 당대 역사적,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 위에 가능하다는 점, 전통 정치사상 연구의 결과와 교훈을 보다 적극적으로 현실문제의 대안 혹은 처방으로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각론적 논의로는 고금을 통해 정치현상에 보편적인 핵심 개념, 주요 정치사상가들, 군주나 재상 등 주요 정치주체의 인식, 경연과 서연, 향교, 성균관, 서원 등 정치주체들의 정치교육, 유교적 법치와 예치 등 정치수단, 여말선초를 분수령으로 하는 유교와 불교의 정치이념적 위상과 그 역전상황에서의 긴장, 대립, 공존의 논리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당대화를 위한 기존의 노력
1. 근대 이전의 성과
2. 근대 이행기의 성과들
3. 현대 한국 학계의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 노력: 연구현황 점검과 성찰을 중심으로
Ⅲ. 한국 전통 정치사상의 현재화 모색을 위한 제언
1. 총론적 논의
2. 각론적 논의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