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와 철학

『論語』解釋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 經學思想의 特性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Jung Yak Yong's Idea of GyeongHak Shown on the Translation of the Analects

『논어』해석에 나타난 다산 정약용 경학사상의 특성

김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trie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Dasan's idea of GyeongHak in comparison with Chu Hsi's translation of Seong (性), In (仁) and Seo (恕) of which translation was the essence of Dasan's translation of the Analects in h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He grasped Seong as a sign that was sorted into the Sign of Body and the Sign of Enlightening.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and object, he argued that character was given to both human and object but justice was owned only by human so it could not be gained by any other than human. As a result, he raised an objection against the idea argued by older scholars that the natural character was same in both human and object while character was different between human and animal. He thought that In was the essence of Raising Good Character by Controlling Mind and Training by Performing; it was made between two people; it was the love toward the others; the two people should value their duties between them; so it was the completed virtue of human ethics. He defined especially In as neither mind-virtue nor heaven's principle but human's virtue, based on which he claimed that In was made by performing work and not the principle located in the mind at all. Regarding ChungSeo (忠恕: doing best for yourself and being tolerant to others), he argued that the 'Il' of IlEeeGwanJi was Seo that was the base for ChungSeo that could be implemented by Chung; so that it was not an extensive one and it had existed since long ago already when you performing Chung. In addition, he sorted Seo into ChuSeo (推恕: modest attitude) and YongSeo (容恕: forgiveness).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Hak shown on his translation of the Analects include emphasis on restoring of the original meaning of official letters (SuSaJiGuGwan), valuing of performance, critical attitude on Neo -Confucianism, emphasis on equality sense, and grasping of GyeongHak and GyeongSeHak on an extended line.

한국어

본 논문은 다산 『논어고금주』에서 해석의 정수인 性, 仁, 恕에 대한 견해와 주자 해석과의 대비를 통하여 다 산 경학사상의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性에 대해 다산은 성을 嗜好로서 파악하고 이를 形軀之嗜好와 靈知之嗜好로 분류한다. 그리고 人物性에 대해 서는 기질지성은 人物이 같이 얻은 바이지만 도의지성일 것 같으면 오직 사람만이 소유한 것으로 금수 이하는 얻을 수 없는 것이라 하여 先儒의 本然之性은 人物이 다 같으나 기질지성은 사람과 짐승이 다르다는 설에 반 론을 제기한다. 다산은 仁을 治心養性과 行己修身의 근본으로 보고, 두 사람 사이에서 생기는 것이며, 다른 사람에게 향한 사 랑이며, 두 사람 사이에서 사람과 사람이 그 본분을 극진히 하는 것으로 보고, 이는 인륜의 완성된 덕이라고 파악한다. 특히 인은 결코 心德이나 天理가 아니고 人德이라 규정하고, 인은 行事에서 이루어지며 결코 마음 에 있는 이치가 아니라고 한다. 충서에 대해 다산은 일이관지의 ‘一’은 바로 恕이고 恕는 근본이 되고 행하는 것은 忠으로 이것은 대대적인 것 이 아니고, 忠을 실행할 때 恕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다산은 恕를 推恕와 容恕로 구분한다. 다산의 논어해석에 나타난 경학의 특성으로는 공문의 원의(수사지구관) 회복 역설, 실천의 중시, 주자학에 비 판적 태도를 견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 평등의식을 강조, 경학과 경세학이 하나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언
 Ⅱ. 다산의 『논어』해석 분석
  1. 嗜好로서의 性에 대한 견해
  2. 行事로서의 仁에 대한 견해
  3. 推恕容恕로서의 恕에 대한 견해
 Ⅲ. 『논어』해석에 나타난 다산경학사상의 특성
 Ⅳ. 결어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호 Kim YoungHo. 영산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