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various aspects of the folk beliefs in Taiwan
초록
영어
The folk beliefs in Taiwan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Han race immigrants from the maritime provinces of China from its introduction to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development. The immigrants were forced to come across with the fierce environments and to meet with the unexpected disaster and diseases, the reason by which they were eager to look for deities for their protection. Since Taiwan, surrounded by the sea, was a country of agriculture, the land was highly adored. The three major deities for them, therefore, MaZu(goddess of Sea), WangYe(god of Epidemic diseasey), TuDiGong(god of land). The Taiwanese folk beliefs have been evolved by four stages for a period of 400 years through the racial migration, cultural integration and political power transferences. The first stage could be termed as the period of division of beliefs. The early immigrants were gathered around a temple where a regional deity was worshipped in an effort to preserve their own interests. The temple was a center for the cult and, at the same time, the gathering place for the people from the same town or provinces. The second stage could be considered as a period of popularization of beliefs. Since the life became stable, the regional protection deity was no longer in need and a deity common to the whole people was required. The third stage was a period of instability of beliefs. The country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the folk beliefs of Taiwan met with the opposition policy of Japan and the Japanese Sintoism was encouraged by force instead. And the fourth stage was th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rule and the flourishing period of religious freedom along with the folk beliefs until today, ever since the Nationalist government moved into Taiwan and the Constitution stipulated the liberty of religious activities. The folk beliefs in Taiwan are characterized as a polytheism with a combination of regional deity along with Buddhism and Taoism. New deities are arising in terms of personal protection and of a family safety with a symbolic altar placed at a central place of a house. The deities may be classified for the objects to be worshipped. They could be for the nature, for a man or for a certain object. Their activities are performed at a temple which is normally erected at a place chosen by the theory of geomancy for the purpose of finding solutions to different problems arising from the everyday life and also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beliefs and moral principals. In other words, the temple has been the center of the beliefs and has been served as the guardian for the people with the help of supernatural divine forces. The final objective was to eradicate evils and secure good fortunes.
한국어
대만의 민간신앙은 발생부터 변화 발전과정에 이르기까지 대만개척사와 관련깊다. 일찍이 대륙 연해의 한족 은 정치적⋅경제적 요인으로 해협을 건너 대만으로 이주 개척에 매진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예측불허의 해난 사고에 심리적 안정을 얻기 위해 보호신을 찾았다. 특히 마조⋅현천상제⋅수선존왕⋅사해용왕 및 총간공 등이 숭배를 받았다. 이중 마조신앙이 가장 흥성하며 현재 800좌 이상의 마조묘가 건립된다. 마조⋅왕야⋅토지공은 민간에서 숭봉하는 3대 신으로 이들에 대한 신앙 동기 및 신의 속성을 통해 대만의 지리환경과 민간신앙의 관 계를 이해할 수 있다. 대만의 민간신앙은 4단계 과정을 거쳐 변화 발전한다. 첫째, 신앙 분류시기로 초기 이민자들은 이익 쟁취를 위해 각기 향토신을 모신 묘우를 거점으로 무장전투를 벌려 신앙이 분류된다. 당시 사묘는 신앙의 중심지일 뿐 아니라 동향의 단결 집회장이었다. 둘째, 신앙 통속화 시기로 이민 생활이 점차 안정된 후 향토 색채와 언 어의 장벽을 타파하고 점차 지방 수호신의 성격은 보편적인 신으로 바뀐다. 셋째, 신앙 동요의 시기로 일제는 사묘를 점령 대부분을 훼손했고, 황민화운동과 함께 대만의 장기 통치 목적을 위해 적극적으로 일본의 신도를 장려한다. 넷째, 신앙의 흥성 변혁 시기로 광복을 맞고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온 후 종교의 자유가 헌법 으로 규정되며 민간신앙은 더욱 흥성 발전한다. 대만 민간신앙의 특색은 향토신 숭배, 불⋅도교가 혼합된 다신숭배, 새로운 신의 부단한 출현, 수호신 숭배, 가 정신의 묘화이다. 묘우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신의 초자연력을 빌려 세인을 위해 봉사하는 공능을 지닌다. 제 신의 주요 목적은 신에게 문복하고 기도하는 것이다. 묘우에서는 항상 각종 기도⋅허원⋅제사⋅천도⋅액막이⋅보 운⋅재초법회를 거행하며, 목적은 민중의 각종 생존 곤란을 해결하고 현실 생활의 구체적인 이익과 화해를 구 하는 한편 전통신앙⋅윤리도덕 정신을 계승한다. 묘우의 건축방식은 대칭 강구, 봉건계급, 안전 방어, 전통 미 학의 성격을 지니며 한 당에 제신을 모시고 풍수지리를 고려하며 전통신앙⋅윤리도덕 정신을 계승한다. 구사 초복의 방법으로 수패, 자패, 와장군, 길간, 도경, 미두고검 등이 있다. 숭배신은 자연신⋅도교신⋅통속불교신으 로 나누며 서로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지방신 대부분은 영혼숭배에 속한다. 현대인은 부단히 새로운 신을 창조하고 인멸시키는 한편 각각의 신이 지닌 고유 공능 외에 새로운 공능을 부 여 점차 다양한 신직을 겸한 만능신으로 변모시킨다. 대만의 현대 민간신앙은 민간인의 종교단체로 광범위한 공익사업을 펼쳐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기도 하나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여전히 사사로운 기복적 성격이 한계성으로 남는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대만 민간신앙의 제 양상
1. 발생배경과 발전과정
2. 특색
3. 묘우와 숭배신
Ⅲ. 나오며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