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Yanban's Dringking Culture in the Early Choseon Dynasty

류정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ierre Bourdieu shows how social class tends to determine a person's likes and interests, and how distinctions based on social class get reinforced in daily life. This paper assumes that drinking alcohol is a kind of sign for distinctions. The object of study is some anecdotes which were written by yangban. They are contained by miscellaneous records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Official discourse said that drinking alcohol was morally wrong at that time. The drinkers who were expressed in the records drank a lot (some of them even drank himself to death) ) and ate a lot. But the evaluations on them were positive. It is believed that heavy drinking reveals the inner side of drinkers which is great and strong. Next, This paper studies this phenomenon in the cultural context. I apply two terms to examine culture, one is 'synchronic' and the other is 'diachronic'. For the 'synchronic' study, this paper compares the drinking of yangban with that of other class, especially chenmin[賤民], the lowest class of Choseon dynasty. Chenmin's drinking bares no relation to his great and strong inner side and it is considered negatively. For the 'diachronic' study, this paper compares the drinking in the early period with that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ynasty.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People had a tendency to consider the people who drank little to be positive. This means heavy drinking doesn't function the sign of distinctions anymore. The middle period put emphasis on the way of drinking while the early period put emphasis on the amount of drinking.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the culture had changed at the level of economy and politics. As a result, the taste of drinking is not individual but cultural.

한국어

이 논문은 음주 행위가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의 취향을 분류하고 위계화하는 ‘구별짓기’의 기호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조선 초기 잡록에 나타나는 술 관련 일화를 대상 으로 하였다. 조선 초기의 지배적⋅공식적 시각으로 볼 때 음주는 그 자체로 ‘악’이었지만 잡록에서 호음(豪飮) 과 대식(大食)은 내적⋅외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수반한다. 이렇게 호음이 긍정되는 데에는 그것이 내면의 크기 와 강함을 드러낸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음주의 행위와 내면적 자질을, 크기와 강함이라는 물리적 유사성 하에 관련짓는 것은 문화적으로 독특한 방식 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두 가지 시각을 제공한다. 하나는 같은 시⋅공간에서 다른 계층의 음주 행위를 살펴보는 것(공시론적 방법)인데, 이때 천민의 호음은 비웃음의 대상으로 그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다른 시⋅공간에서 이루어진 음주 행위를 살펴보는 것(통시론적 방법)인데, 조선 중기는 음주의 양보다는 질을, 그리고 무엇보다 음주의 방식을 중시한다. 조선 초기와 중기의 음주 문화 차이는 조선 초기 음주가 가졌던 경제적⋅정치적 효용을 설명하면서 보충된다. 술과 음식의 경제적 희소성으로 인해 음주의 양이, 세조 시대라는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음주인의 내면적 크기와 강건함이 중시되었던 것이다. 이후 본고는 조선 초기 경제적⋅ 정치적 효용을 가졌던 음주가 조선 중기 이후 변화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는 틀로 ‘중(中)의 원리’를 설정한다. 조선 초기와 중기는 모두에서, 음주는 단순히 먹고 마시는 문제가 아니라 내면을 유추할 수 있는 기호이자 그러한 내면이 정당화될 수 있는 가치들 을 함축하는 유의의미한 기호라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구별짓기’ 기호로서의 술
 Ⅱ. 주당의 형상화: 大食과 豪飮의 긍정
 Ⅲ. 긍정의 이유: 내면의 크기와 강건함
 Ⅳ. 문화적 기호로서의 호음
  1. 양반의 호음과 천민의 호음
  2. 조선 초기의 음주와 조선 중기의 음주
 Ⅴ. 결론을 대신하여: 호음의 경제적⋅정치적 효용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정월 Ryu Jeongwol. 서강대 산학협력단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