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百濟 金石文과 書藝文化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epigraph and calligraphy of the Paekche

백제 김석문과 서예문화

이영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cedent studies about epigraph have been mainly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inscribed slates and documentary literature, and the results were almost all concentrated on fields of political history. Most of these studies have limits of research methods to be focused on grasping each of characters about remains and were not try to prospect widely.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extensively epigraph. Firstl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look for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material for Paekche epigraph.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prior problems for epigraph in Paekche calligraphy following the periods, qualities of material, techniques and calligraphic styles for inscribed slates focused the discovered data of epigraph in the age of Paekche until a recent. And then this study drew out characteristic following to development of Paekche calligraphy. Paekche calligraphy had been kept their own identities, accepting neighboring cultures. There are two kinds of main trends of calligraphy in Paekche epigraph. Wooden split bamboos and earthenwares are self-centered and free to express, but epigraph and metalwares are mostly standard and strict regularity. Most remains of Paekche calligraphy were not discovered as recordings on paper and descriptions on silk but were left as epigraph with strong durability, earthenwares and wooden split bamboos. Even though things in the former case seem to be used generally at that time, there is nothing to see these days. Consequently, it is looking forward these material to be recovered.

한국어

金石文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명문기록과 문헌기록과의 비교에 집중되었고, 그 연구 성과도 대체로 정치 사의 영역에 집중되었다. 기존 연구의 또 다른 방법상의 한계는 개별 유물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머물러 백제 금석문 자료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시도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바탕에서 백제 금석문 전체를 조망하고자 했다. 먼저 백제의 한문자 유입과정과 백제 금석문의 자료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최근까지 발굴된 금석문 자료를 중 심으로 백제시대의 명문유물을 시기와 재질 또한 명문의 기법과 서체 등에 따라 백제서예의 선결문제를 살피 고 이에 따른 백제 서예문화의 발전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백제 書藝는 주변문화를 받아들여 이들을 융합하면서도 독자적인 정체성은 잃지 않았다. 그리고 백제 금석문 에 나타난 서예는 크게 두 가지 경향이다. 木簡과 土製품명문은 隨意的이고 자유스러운 가운데 치기어린 미감 이 보인다. 石文과 靑銅⋅철제명문은 대체로 표준적이며 정규적인 엄격한 법도가 있다. 백제의 서예유물은 대부분 내구성이 강한 금석문과 단편적인 土製品과 목간에 남아 유전되고 있다. 종이나 비 단의 서사자료는 아직은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다. 물론 그 당시에 사용된 자료는 비단이나 종이 등에 서사된 것이 훨씬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대체로 인멸되는 등의 원인으로 지금은 볼 수가 없다. 차후에 새로운 자료가 발견된다면 더 깊게 백제 서예를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Ⅰ. 序論
 Ⅱ. 百濟의 漢文字流入과 金石文資料現況
  1. 百濟의 漢文字流入
  2. 百濟時代金石文資料現況
 Ⅲ. 百濟書藝文化의 發展과 特徵
  1. 銘文의 書者와 書刻者
  2. 書寫와 刻書工具그리고 刻書方法
  3. 百濟書藝文化의 發展
  4. 百濟書藝文化의 特徵
 Ⅳ.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철 Lee young-cheol. 동방대학원대학교 서화심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