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원문정보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Byeongsanyukgok(屛山六曲)>

권구의 <병산육곡>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김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wongu's is Yukgagye-Yeonsijo(六歌系 연시조). This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This is a value that 'Yukga(六歌)' continued until the 18th century. Yukgagye Yeonsijo was succeeded a ToeyGae(退溪)'s . This means that was relation to Chulcheogwan(出處觀), Space of mountains and rivers(江湖), the positions of Sugi(修己), Organic structure. This research is work study of . This work 'Yukga', ‘Yeonsijo', '18 Century' is noted for three terms. Based on this, as the firs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pace. The second was focused on the continuity. In front of the works is to study the Yeonsijo as a means. And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The as a whole followed a tradition of Yukgagye Yeonsijo. But,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rivers and continuity, both were changed. In other words, recognized mountains and rivers with two kind is a space of sugi and a space of life. In addition, the water space and land space was recognized separately. Namely, the water space to feel the comfort and in the space of land was the conflict. Also, in general followed the flow of the Yeonsijo. But were not structured organically. This is a limitation of .

한국어

屛谷 權榘의 <屛山六曲>은 18세기에 제작된 육가계 연시조로, 육가의 맥락을 18세기로 이어갔다는 의미를 지 닌다. 육가계 연시조는 이별의 <장육당육가>로부터 비롯되지만, 이황의 <도산십이곡>이 선구적 역할을 하여 이후의 작품들은 대부분 <도산십이곡>의 정신을 본받게 된다. <병산육곡>이 <도산십이곡>을 효방한 육가 계 연시조란 사실은 出處觀, 강호의 공간, 修己의 자세, 유기적 구조물이란 내용을 포함함을 환기한다. 아울러 18세기의 작품이란 점은 이러한 제반 요소를 변용하여 수용했을 것이란 짐작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점들에 유념한 <병산육곡>의 본격적인 작품론 이다. 본고에서는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 해지던 <병산육곡>의 작자가 권구임이 밝혀진 과정을 밝히고, <병산육곡>의 여섯 수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 석을 하였다. 작품을 조망함에 있어서는 ‘육가’ ‘연시조’ 그리고 ‘18세기’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토대로 첫째로는 강호의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시조로 서 기능하기 위하여 작품의 유기적 연결성과 함께 그것의 연작성에도 주목하였다. 아울러 육가계 연시조의 전 통을 어떻게 18세기로 이어갔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병산육곡>은 전반적으로는 육가계 연시조의 전통을 따르지만 강호인식과 연작성 모두에서 변화된 모습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호를 修己의 공간임과 동시에 삶의 공간으로도 인식하였다. 이는 물의 공 간과 육지의 공간으로 변별되는데 물의 공간에서는 평온을, 육지에서는 갈등을 하게 된다. 연작성 또한 전반 적으로는 연시조의 흐름을 따르지만 낱낱의 연결은 유기적으로 구조화되지 못하여 한계를 지닌다.

목차

<국문 요약>
 Ⅰ. 權榘와 ‘屛山’
 Ⅱ. ‘六歌’의 전개와 강호를 바라보는 시각
 Ⅲ.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과 삶
  1. 忘機의 지향
  2. 浮雲을 향한 갈등
  3. 武陵의 발견
 Ⅳ. <屛山六曲>의 연작성
 Ⅴ.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진 Kim, sang-jean. 한양대 학부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