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Myungbujeon(冥府殿) statues, including Kstigarbha, the Ten Kings and minor attendants, are one of the common Buddhist sculp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17th century, Joseon dynasty suffered from foreign invasions and climate change, stimulated by the Little Ice Age. These factors played a fatal role to threaten 17th century Joseon dynasty people's lives. In order to cope with such catastrophic situations, Buddhist world realigned various ritual cannons and held Water and Lant rites(水陸齋) to comfort revengeful spirits. In addition,it established Myunbujeons all over the country for appeasing the dead spirits and cultivating people's good deeds. Myungbujeon statues, which had rendered since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well reflect each monk sculptor's artistic disposition. However,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number of monk sculptor schools was dramatically diminished. Only three or four major sculptors' schools seem to have images render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se groups of monk sculptor school participated in continuously same projects for making Myungbujeon sculptures, by which they could have a chance to develop each school's distinct features of Myungbujeon images. This study focuses on two monk sculptor schools Seaknan(色難) and Daneung(端應) to examine these schools' distinct features of Myungbujeon statue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the late 17th century Myungbujeon sculptures are official hat's decorations. It is necessary to speculate motivation for emerging this new ornamental elements in the Ten Kings' hats, if we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 distinct descriptions of each King in main scriptures for the Ten King belief. However, orally transmitted shaman hymns, which related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could provide one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for these ornamental elements. Flowers and birds are directly associated to help the dead to gain new lives or pass through the Ten Kings courts. Carving these ornamental elements in the Ten King's hats seems to reflect patrons or prayers wishes to gain such a privileged chance for them. The second features of the late 17th century the Ten King statues is simplified their drapery patterns. Compared with previous period of the Ten Kings garments, which were carved to emulate the real drapery shape, the late 17th century's the Ten Kings draperies were rendered as symmetrically creased patterns. The third is that increasing usages of animal images, which are mainly located in under the Ten Kings' feet, seem to gain popularity among the late 17th century monk schools. As a result, we can find various shapes of animal images among the most of the late 17th century the Ten Kings.
한국어
지장보살과 시왕상 및 하부권속으로 이뤄진 명부전 존상들은 조선후기 가장 많이 조성된 주요한 불교 존상들 중 하나이다. 17세기 초반부터 조선에 가해진 외세의 침략과 小氷期로 촉발된 기상이변 현상들은 당시를 살았던 민중들의 삶을 위협하는 거대한 불안요소들이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불교계는 의식집을 재정비하고, 수륙재를 거행하여 억울하게 죽어간 이들의 넋을 위로하였다. 뿐만 아니라 명부전을 건립하여 망자들을 위한 천도의식과 살아있는 이들의 선업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17세기 전반기부터 꾸준히 조성되는 명부전 존상들은 당시 활동하던 조각승의 작풍을 그대로 반영하고있다. 하지만 17세기 전반기와 달리 17세기 후반기부터 활동하는 조각승 집단의 크게 3~4개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같은 집단이 반복적으로 동일한 불사에 참여하다보니 점점 조각승 집단 고유의 특징적인 표현들을반전시킬 수 있었다. 이번 논문에서는 17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색난과 단응의 시왕상을 분석하여, 이들 집단시왕상의 형태적인 특징들을 도출했다. 또한 제작시기를 알 수 없지만 색난과 단응 계보가 조성에 관여했을존상들에 대한 작가 및 제작시기를 고찰해 보았다. 17세기 후반 시왕상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관모에서 장식적인 요소들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시왕신앙의 소의경전에 없는 장식요소들이 발견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존하는 무가들 중 특히 망자 천도와 관련된 모티프들이 관모 장식에 쓰인 것은 이러한 관모 장식의 등장 원인을 해석할수 있는 한 가지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들 무가 속에 등장하는 새와 꽃장식들은 전부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 것들이다. 시왕상 관모에 이 같은 도상이 등장하는 배경은 시왕의 심판을 무사히 넘겨 천도하기를 바라는 시주자 혹은 기도자의 염원을 반영할 것이다. 관모 이외에도 복식의 요소들이 생략되거나 도식화되고, 시왕 발 아래 서수의 다양한 표현들 역시 17세기 후반 시왕상을 이전시기 시왕상들과 구별할 수 있는 큰 형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목차
II. 17세기 후반 색난과 단응 시왕상
III. 17세기 후반 시왕상의 특징
IV. 맺음말
참고자료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