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世紀 僧匠 竹淐ㆍ淨祐系 梵鍾의 特徵과 系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genealogy of Buddhist Bell of Monk bell master Jook-changㆍJung-woo affiliation in 17th century

17세기 승장 죽창ㆍ정우계 범종의 특징과 계보

鄭文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Bell, the keynote of Buddhist bell in Joseon Dynasty period is the thing that as each chief bell masters are established of style and valid of faction, it represents contemporary characteristic and regionality.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were activ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o the Manchu war of 1636, the time when extreme financial difficulties and socially clouded period. In spite of this situation, they were not only didn't biased area, but also worked in a widespread zone including Gyeonggi-do,Chung cheongnam-do, Jeollanam-do, and etc. However,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were recognized as a prevenient master before Sa-in who is evaluated as a bell master in 17th century. And even though Sa-in made a Buddhist Bell standing on the basis of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Buddhist Bell's superiority and creativity,the importance of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were not received attention. In 15th century, style of Chinese Bell were influenced the bell which is played by royal family. But in case of (1469), although it has a dragon knob of double dragon, it express sound pipe. This means even though there are many effect of Chinese Bell, bell masters express the style of traditional bell. The point that is expressed the style of Chinese Bell in the bell which is played by royal family, is judged as a (1346) in Goryeo, lively interchange with Ming, and effect of royal bell workshop that a Jujongso(metal factory of royal family) which is biased in Chinese culture. Monk bell master Keun-ryeng who made (1584) shows a domesticating dragon knob Which is mixed a style of Chinese Bell and Korean Bell in 16th century. Although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succeed domesticating dragon knob, they express a dragon knob which is emerged the characteristic of chief bell master by attempting new ornamental expression and fragmentary change. In case of bell body, each chief bell masters made a Korean Bell style, Chinese Bell style,mixed style and etc, that they made variety styles as the tendency of former and making intention. Jook-chang ;Jung-woo affiliation express Sanskrit as a upper range pattern for the first. Moreover, they express double lined Sanskrit circle pattern, which is written Om Mani Padeume Hum and Om Katateya Shaba, originatively and patterned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t mantra. But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express a plate formed three parts head, body and the bottom, which shows in the Buddhist scriptures engraving of South Sung, Ming and Ching, the Buddhist Bell of South Sung, Ming and Ching and of Boeunsa temple in Szechwan which is a real Chinese plate, in Joseon Dynasty period for the first time. But because of the plate patterns of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same with the style and witten player of plate in ..Buljeongsim Darani-gyeong ..(production of royal family) which is written in 1485, we could know that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imitate plate of ..Buljeongsim Darani-gyeong... Moreover, Jung-woo express original plate pattern printed good auspice pattern which is influenced by dharani and ..Collection of Buddhist Mantra.. in (1636). An image of bodhisattva which standing on the cloud with a lotus bud in hand is expressed as a main pattern in bell body. Becaue of Om Mani Padeume Hum which is a Buddhist mantra of Avalokitesvara Guan Yin is expressed in Buddhist Bell, icnography of bodhisattva is estimated at Avalokitesvara Guan Yin. Concretely, it is created base on the symbol and icnography of Arya-Avalokitesvara in ..Maei Bkau Ubum.. and (1568) written in Chwiamsa temple. Like this,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create diverse and inventive pattern like dragon knob, standing shape flower pattern range, upper range of Sanskrit pattern,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t mantra pattern, play plate pattern,figure of Arya-Avalokitesvara, lotus carton, lotus budlet, flower pattern in bottom range and etc. the characteristic of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inherit same monk bell master affiliation, so we could know that Chi-woo,Deung-won, Bo-eun are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And through a point that they share a second bell master and caudal expression in the same dragon knob of double dragon, Won-eung and Sa-in in Jook-chang ;Jung-woo affiliation are assumed as a teacher-pupil relations. Along with this, monk bell masters of Sa-in affiliation include Sa-in inherit convention of same monk affiliation by following patterns and ornament of Jook-chang ;Jung-woo affiliation or borrowing part of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These tendency remarkable equally appear in (1708) which is made by Gye-il that newly found by writer. But Sa-in and monk bell master of Sa-in affilication in 18th century have a inclination which is hard to read Sanskrit,changed arrangement of Buddhist mantra and omitted Buddhist mantra. Moreover, due to the limitation of imitate, ornaments and patterns are getting diagraming and simplification. Though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is influence on the private bell masters at modelistic parts that Jook-chang ; Jung-woo affiliation affects not only monk bell masters but also private bell masters. Finally, I hope that the importance of Jook-chang ;Jung-woo affiliation, the base of Sa-in who is great bell master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period, having their own superiority and creativity, would be re-evaluated.

한국어

한국범종사에 있어 조선시대 범종의 특징은, 개별 주종장에 따른 양식의 확립과 계파의 성립이 시대성과지역성을 대변한다는 점이다. 죽창 . 정우계는 극심한 경제난과 사회적으로 혼란하던 시기인 임진왜란 이후와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에 활동하였다. 그럼에도 지역에 편향되지 않고 경기도, 충남, 전남 등 광범위한지역을 대상으로 활동하였다. 그렇지만 죽창 . 정우계는 17세기 명장으로 평가받는 사인의 선행 장인으로만인정받아왔다. 더불어 죽창 . 정우계 범종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기반으로 사인이 범종을 제작하였음에도, 죽창 . 정우계의 중요성은 조명 받지 못하였다. 15세기에 왕실발원종은 중국종의 양식적 영향을 받았다. 그렇지만 <봉선사종>(1469년)에는 쌍용용뉴임에도 음통을 표현하여, 중국종의 영향 속에서도 전통종의 방식을 표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실발원종에 중국종의 양식이 표현된 점은, 고려시대 <연복사종>(1346년) 및 명나라와의 활발한 교류와 더불어 중국문화에 편향적이었던 왕실의 금속품 제작소인 주종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16세기에 들어 <갑사종>(1584년)을 제작한 승장 근령은 중국종과 전통종의 방식이 혼합된 자국화된 용뉴를 표현하였다. 이러한자국화된 용뉴를 죽창 . 정우계가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장식 표현과 부분적 변화를 시도하여, 주종장의 특성이 드러나는 용뉴로 표현하였다. 종신의 경우 각각의 수종장에 따라 전통종, 중국종, 혼합화(중국종+전통종)등으로 제작하여, 주종장의 성향과 제작의지에 따라 다양한 측면으로 제작되었다. 죽창 . 정우계는 최초로 범자를 상대 문양으로 표현하였는데, 독창적으로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을 2중선의 범자원문으로 표현하고 문양화된 한자진언문도 표현하였다. 패문의 경우 고려시대 범종의 연잎형 패두와 연화받침 패대의형태로 조성기 등이 새겨진 기명패문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죽창 . 정우계는 중국 남송 . 명 . 청나라의 불경판화, 범종,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는 중국의 실물 패인 사천성 보은사의 <대웅보전 패위>(1440년 추정) 등에서 표현되었던 패두 . 패신 . 패대 등 3단 구성의 패문을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표현하였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는 조선에서 편찬한 인수대비 발원 1485년 편찬 ..불정심다라니경..원패문의 축원문, 형태 등이 동일하여죽창 . 정우계가 ..불정심다라니경..을 모본으로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정우는 <백련사명종>(1636년)에서 다라니와 ..제진언집..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 길상문이 표현된 독창적인 패형을표현하였다. 종신의 주 문양으로는 구름 위에 서서 연봉을 들고 있는 보살상이 표현하였다. 보살상의 도상은범종에 관세음보살의 진언인 육자대명왕진언이 표현되어 우선적으로 관세음보살로 추정된다. 보다 구체적인 존상을 추정하면 ..마니칸붐..과 취암사판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568년)에 수록된 <육자관념도>에 표현된 성관자재보살의 상징성과 도상에 영향을 받아 창안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죽창 . 정우계는 용뉴,입상연판문대, 범자문 상대, 한자진언문, 원패문, 성관음보살상, 연곽 . 연뢰 . 하대에 표현된 꽃문양 등 다채롭고 독창적인 표현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죽창 . 정우계의 특징은 동일 승장 계열에 계승되어 치우, 등원, 보은 등이 죽창 . 정우계열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차종장을 공유하였다는 점과 동일한 쌍용용뉴에 표현된 지느러미를 표현하였다는 점을 통해, 죽창 . 정우계의 원응과 사인을 사승관계로 추정하였다. 더불어 사인을 비롯한 18세기 사인계 승장 등은 죽창 . 정우계의 독창적인 문양과 장식을 답습하거나 부분적으로 차용하면서동일 승장계열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필자에 의해 새롭게 계일의 작품임이 확인된 <광덕사명종>(1708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다만 사인과 18세기 사인계 승장들은 범자의 판독이어렵거나, 진언이 누락되고 배열이 뒤섞이는 경향이 확인된다. 더불어 장식과 문양이 도식화되고 간략화가진행되는데, 이는 답습에 따른 한계로 이해된다. 그럼에도 주목되는 것은 18세기에 활동한 사장들에게 죽창. 정우계의 양식적 영향이 확인되어, 죽창 . 정우계의 영향력이 승장뿐만 아니라 사장들에게까지 지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조선시대에 활동한 주종장들 중 명장 사인의 근본이 되는 장인이며, 우수성과 독창성이 돋보이는 죽창 . 정우계의 중요성이 부디 재평가되길 바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竹淐ㆍ淨祐系의 活動
 Ⅲ. 竹淐ㆍ淨祐系 梵鍾의 特徵과 傾向
 Ⅳ. 竹淐ㆍ淨祐系 梵鍾의 影響과 系譜
 Ⅴ. 맺음말
 참고자료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鄭文碩 정문석. 印度博物館 學藝硏究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