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 王陵 十二支神像 硏究

원문정보

Study on Joseon Royal Tombs' Twelve Zodiacal Animal Deities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 연구

김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royal tombs' twelve zodiacal dieties resemble a figure with animals carved on the crown and a human body. The image has human face and body and animals carved on the crown. The figure is a civil servant image holding a ring in the hand and facing the front. It wears a crown on the head and a broad garment with long sleeves. It stands on the unjwa (cloud-shaped pedestal) with the surroundings filled with clouds and full of blossoms,evoking a mysterious ambience. Joseon Royal Tombs' twelve zodiacal dieties changed significantly in terms of style. In the late 14th century to the early 15th century right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Goryeo's ceremonies and rites were transferred and accepted; as such, twelve zodiacal deities, Buddhist bells, and beads were engraved. From the mid-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Joseon's rites were established. As such, twelve-zodiac deities, cloud figures,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twelve zodiacal deities were engraved.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as a social reformation period,following the Imjin Waeran (Japanes invasion of 1592) and Byeongja Horan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 1636) wars, twelve-zodiac figures were simplified into twelve-zodiac patterns but were changed into peony patterns after the mid-18th century; thus causing the twelve animal images to sink into oblivion. Joseon royal tombs' twelve-zodiac divine figures were unique and original,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as well as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combining its Principle of Changes and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Joseon established its unique twelve-zodiac figures. Joseon royal tombs' twelve-zodiac figures were the last among such traditional iconographies, making them highly worth researching in the history of arts.

한국어

十二支神像이란 12방위와 12달, 12시간에 대응한 12가지 동물조각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부터 본격화되어 조선 왕릉 석물에도 십이지신상을 조각하였다. 조선 왕릉에서는 봉분을 보호하는병풍석을 12각으로 조성하면서 그 병풍석 面石에 십이지신상을 浮彫하였다. 조선왕릉 병풍석 십이지신상은 12방위를 호위하며 외부로부터 죽은 왕을 수호하는 신장상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의 圖像은 獸冠人身像이다. 즉 사람의 얼굴과 신체를 지녔으며, 동물형상은 머리 위에 쓴 冠帽에 별도로 조각하였다. 형태는 홀을 들고 있는 문관상으로 정면을 향하여 반듯하게 시위하고 있다. 머리에는 冠帽를 쓰고, 소매가 길고 폭이 넓은 대수포를 입었다. 운좌를 밟고 서 있으며 주변에는 운채를 꽃이 만개하는 형태로 가득 채우고 있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은 양식적 변화가 크다. 조선 건국 직후인 14세기 말기~15세기 초기에는 고려의 古禮를 받아들인 시기로, 십이지신상 . 영저 . 영탁문을 시문하였다. 15세기 중기~17세기 초기까지는 조선의禮制가 정착되는 시기로 십이지신상 . 운채 . 십이지문자가 시문되었고 조선식 십이지신상이 정립된 시기이다. 조선후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사회변혁기인데, 십이지신상 대신 십이지문자로 간략화되고18세기 중반 이후에는 모란문으로 변화되어 동물이미지의 십이지생초는 결국 소멸한다. 이는 古禮를 중요시하여 형식변천이 많지 않은 보수적인 왕실미술의 성격을 견주어본다면 획기적인 도상의 변화가 발생한 것이고, 매우 드문 일이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첫 번째, 조선중기 이후 왕릉 제도의 변화로병풍석을 아예 조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왕릉을 옮기는 遷陵을 자주 거행하였기 때문이다. 천릉은조선만의 특징인데, 복잡한 정치적 배경을 배경으로 진행되었으며, 천릉 이후 병풍석을 만들지 않거나 다른문양으로 대체하였다. 세 번째, 인력과 비용 등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네 번째, 불교문양 배격의 사회적 인식 때문이다. 즉 십이지신상을 불교문양으로 해석하고 이를 배척하면서, 결국 십이지신상을 없애고 모란 . 연화문양으로 바꾸게 된 것이다. 조선 왕릉 십이지 신상은 통일신라, 고려와는 다른 조선만의 독특성이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고유성을 창출하였다. 특히 조선의 역학과 음양오행설과 습합하여 조선만의 독자적인 십이지신상으로 정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왕릉 십이지신상 중 마지막 도상으로 미술사적 연구가치가 높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朝鮮 王陵 十二支神像의 정의
 Ⅲ. 朝鮮 王陵 十二支神像의 배치와 圖像
 Ⅳ. 朝鮮 王陵 十二支神像의 변천
 Ⅴ.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의 소멸 원인
 Ⅵ.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김은선 Kim Eun-seon. 대전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