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전기 석탑의 특성 연구

원문정보

Some features on stone pagodas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ryo

전민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yeo started to achieve significant development, accommodating Buddhism as a social integration philosophy, in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fter re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t has to be especially pointed out that Koryeo stupa type identifies itself with the notion of diversity. The early stage of the dynasty obtains eight types of stone stupas, which mostly were built in more than five-storey forms, whereas the stone stupa type of the previous era, the Unified Shinra, can be characterized as overwhelming majority of three-storey form with double stylobate.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early stage of Koryeo made a momentum of raising various forms of stone stupas on a nationwide scale. They were mainly built on the basis of building stupa sutras in the same manner with the previous period, and a prevalent idea of Bibo and diversity of patrons also influenced on stupa buildings. In this period, some classical stone stupa forms of double stylobate, of single stylobate, of four lions and of brick imitation were consistently raised, on the other hand, new forms of Baekje style assembling, of polygon, of blue stone(clay-slate) and of Asoka stone stupa were emerged. This study addresses the stone stupa type of the early Koryeo by means of proportion, ornament, composition of material, ceiling forms, diminishing rate and so on. Researches on proportion between stylobate and the first storey body, ornament in stylobate parts, simplification of material composition, forms of ceilings and bodies, and a trend of sharpen shape in later modes devote themselves into elaborating the history of stone stupa types in Koryeo. In associate with more sharpening shape, stupas tended to have narrow stylobate, that is, people chose ascending shape as a ideal form in sacrifice of stability in that era. Characteristics of stone stupas in the early Koryeo can be reviewed in several points. Identical type of the early Koryeo stupa is on the basis of sharing typical modes in regional and/or national scale and the same time zones. Both specific regional based stupa forms like Baekje style assembling and polygon ones and nationwide forms like blue stone and four lions stupas reflect the diversity of Koryeo stupa type. The increase of single stylobate, pedestal stylobate and step stylobate forms, utilization of body base, emergence of the assembling first storey body and Noban stone with decoration indicate new aspects of the early type. Moreover, it was introduced that assemble order,flower-typed An sang, and designs of double pillars and Munbi were commonly used in the contemporary stonewares as well. This kind of period-typical sharing was not limited in stonewares, but related to metal crafts in many ways,therefore, it is not hard to recognize that the types of forms were mutually and widely shared at that time. Stone stupas of the early Koryeo shows its typical identity as the conception of diversity. It shows the stupas were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many sorts of building goals and wishes from wide range of sponsors, and absorbed other various philosophical thoughts as well as Buddhism. It is highly expected that studies on stone stupas in Kaekyung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stupa types in the whole period of Koryeo would be elaborated.

한국어

고려시대는 후삼국이 통일되고 불교를 사회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면서, 정치, 경제,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한다. 특히 개경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불교문화는 다양한 유형의 석탑출현에 영향을 주었다. 고려전기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이중기단에 삼층석탑과는 달리 오층 이상의 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유형이 여덟 가지로 나타나고 있어, 다양성을 문화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전기 불교의 대중화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석탑이 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려전기 석탑은先代와 마찬가지로 조탑경에 의해 건립되는 사례가 많으며, 비보사상과 다양한 계층에 의한 발원 탑들도 등장한다. 고려전기에는 전통적인 유형인 이중기단석탑, 단층기단석탑, 모전석탑, 사사자석탑이 지속적으로건립되고, 신유형으로 다각형석탑, 백제식결구형석탑, 청석탑, 석조아육왕탑이 출현한다. 이렇듯 탑의 다양한 유형을 통해 당시의 문화적인 허용의 범위를 느낄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은 양식의 흐름을 비례, 장엄, 부재의 구성, 옥개석, 체감률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기단과초층탑신의 비례체계와 기단에 나타나는 장엄, 간략화되어가는 부재의 구성, 옥개석과 옥개받침의 형태, 후기로 갈수록 점점 높아져가는 체감률 등을 고찰함으로써 양식의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다. 체감률이 상승함에따라서 기단은 좁아지고 세장해지며,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석탑을 건립하려는 의지보다는 탑의상징적인 모습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의 특징은 몇 가지로 나눠서 살펴 볼 수 있다. 지역적,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석탑들이 시기적으로 같은 양식을 공유하면서, 고려전기 석탑의 독창적인 모습을 갖춰나가기 시작한다. 지역적으로 건립되는 백제식결구형석탑과 다각형석탑,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청석탑과 사사자석탑은 고려전기 석탑이다양화되는 모습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단층기단석탑, 불상대좌식기단, 계단식기단의 증가와 탑신받침,삼단받침의 활용, 조합식 초층탑신의 등장 그리고 새로운 노반석의 등장은 고려전기 신유형 석탑의 등장에많은 영향을 미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치석수법, 화형안상, 겹우주의 표현, 문비의 표현을 통해서 당대의 다른 석조물과의 양식적인 공유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모습은 금속공예품과도 연관성이 있어, 분야를 뛰어넘는 당시의 시대적인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은 建塔의 의지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불교 이외의 사상도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時代史的으로도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현재 고려전기 유물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에서 고려전기 석탑은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고려전기를 대변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의 탑들의 조사가 진행되어 고려시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전기 석탑의 건립목적
 Ⅲ. 고려전기 석탑의 유형과 양식
 Ⅳ. 고려전기 석탑의 특징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전민숙 Jeon Min-sook. 인천시립 송암미술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