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慶州 南山 出所 國王慶應造無垢淨塔願記와 無垢淨塔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ewly Excavated Mugujeongtapwongi(Epitaph)and Mugujeongtap of Mt. Namsan in Gyeongju

경주 남산 출소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와 무구정탑

신용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nglim-sa Temple, located in Janchang-gok in the western part of Mt. Namsan in Gyoengju, is known as the site for the first Silla palace, and it has the widest area among the temples in Mt. Namsan. However, it was closed in the mid-Joseon period and has remained closed so far. It was told that the pagoda stood until the end of Joseon, and a mason tore down the pagoda in the Changrimsa Temple in Mt. Namsan in Gyoengju in 1824. At that time the sarira reliquary was discovered, and, in fact, Kim Junghee, who was visiting Gyoengju,discovered it in person. He copied down the epitaph of the pagoda found at that time and kept it in his scrapbook. The copied epitaph was known to the world as it entered Buddist relics of Gyoengju-Namsan(慶州南山の佛蹟)published in 1940. The original copy was missing, but the original copy of Mugujongtapwongi(無垢淨塔願記) was recently discovered. An excavation was conducted on the Changlim-sa Temple recently, and it is noteworthy that a pagoda site which is presumed to have had the epitaph in it was discovered. Thus, based on recent studies and excavation results, this study estimates the epitaph was found in the pagoda, and examines its stylish characteristics of Changlim-sa Temple's pagoda. The research shows that the Changlim-sa Temple's pagoda in which the epitaph was sealed i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was restored, and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possible that the pagoda could be either twin pagodas or single pagoda. Second, the pagoda had a double stylobate with three stories. Third, it was a pagoda with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carved on the upper stylobate, and iconologically it was a guardian structure prevalent in Gyoengju area. From the state of the recetly excavated pagoda material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ugujeongseoktap was demolished in 1824 to use the materials in building another structure. Again. the sarira hole is found in the root pass of the pagoda body, but the size cannot accommodate the epitaph, so it is more likely that the epitaph was either placed and sealed in the pagoda body ston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rooftop fittings.

한국어

경주 남산 서쪽 장창곡에 위치한 창림사는 신라최초의 왕궁터로 알려져 있으며 남산을 통틀어 가장 넓은사찰영역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조선중기에 폐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조선말기까지 절터에는 석탑이 남아 있었고 1824년 석공이 경주 남산 창림사 석탑을 파괴하였다. 이때 석탑 내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고 때마침 경주를 방문한 김정희는 이를 직접 실견하였다. 그리고 탑에서 발견된 塔誌를 모사하여 서첩에 남겨두었는데, 1940년 발행된 󰡔慶州南山の佛蹟󰡕에 수록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원본의 행방은 알 수 없었는데 근래에 <無垢淨塔願記> 원본이 발견되었다. 동시에 최근 창림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이번 조사에서 탑지가 출소된 것으로 추정되는탑 터가 발견되어 주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조사와 발굴결과를 토대로 탑원기가 출소된 탑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창림사 석탑의 양식적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탑원기가 봉안되었던 창림사 석탑은 현재 절터에 복원된 석탑과는 별도의 석탑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석탑은 쌍탑일 가능성과 단탑일 가능성이 공존한다. 둘째 석탑은 이중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지닌 석탑이었다. 셋째 상층기단부에 팔부중이 새겨진 석탑으로 도상적으로는 경주지역에서 성립되었던 侍衛形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현재 발굴 확인된 탑재의 양상으로 미루어 1824년 무구정석탑의 파괴는 탑재를 다른 곳에 쓰기 위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층탑신의 사리공이 확인되었으나 무구정탑원기를 봉안할 수 없는 크기여서 결국 탑지는 탑신석이나 옥개석 상면에 놓여져 봉안되었을가능성이 높아졌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무구정탑원기를 통한 석탑의 건립배경
 Ⅲ. 창림사 무구정탑의 추정과 특징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신용철 Shin Yong-chul. 양산시립박물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