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중용의 학제간 고찰>

中庸的 삶의 현대적 해석

원문정보

Rethinking Capitalism by the Doctrine of the Mean

중용적 삶의 현대적 해석

박성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y the meaning of a lifestyle following the instruc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in modern society, capitalism system. Not just an aphorism, I tried to prove that only a lifestyle following the instruc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was a very important virtue to maintain capitalism system in health. Although there is self-criticism today that Confucian Thought is abstract and has nothing to do with changing and developing society,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how seriously the Confucian virtue such as the Doctrine of the Mean connected with existence of capitalism system. Capitalism society in which we live today is the system that affirms human's desire. Because it is based on thought of the natural law permitting private property. However, uncontrolled gushing of individual desire will guide mankind into destruction. In this point, what we pay attention is just the Doctrine of the Mean. Although there are many explanations, moderation is a important messag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However, Keeping the lifestyle of moderation in actual life is not easy. Constant effort, so called 'trying attitude' is needed. In addition, we should not forget that moral doctrine of moderation originally exists in human mind and have to try to carry out this virtue. Only if we do that, we can overcome social problems of capitalism system in virtuous circle.

한국어

본고에서는 현대사회, 즉 자본주의체제에 있어서 중용적 삶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단순한 경구로서가 아니라, 중용적 태도야말로 자본주의체제를 건강하게 영속시킬 수 있는 중요한 덕목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뜩이나 유가사상은 현실과 접목을 이룰 수 없는 이상적이고 추상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자기비판이 상존하는 현실에서, 본고에서는 중용이라는 유가적 덕목이 얼마나 절실하게 자본주의체제의 실존과 결부되어 있는지를 논증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구가하는 자본주의사회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체제이다. 자연법 사상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욕망의 무절제한 분출은 인류공동체를 파멸의 길로 인도할 것이다. 이런 시점에서 주목되어지는 것이 바로『중용』이다. 『중용』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욕망의 절제는 『중용』의 중요한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中庸』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지만, 德, 혹은 內聖의 확충을 그 시발점으로 본다는 점에서 『中庸』을 人性論에 관한 책으로 보는 데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中節과 不中節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욕망과 관련이 있다. 주희의 해설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은 하나인데, 혹 形氣에서 생겨나는 마음은 人心이 되고, 정당한 性命에 기반해서 나오는 마음은 道心이 된다. 그러므로 道心이 항상 一身의 주재가 되도록 중용을 잡아야 한다. 형기의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면 人心이 발호하므로, 욕망의 절제는 곧 도심의 발양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 생활에서 중용의 도를 지키는 일은 쉽지 않다. 부단한 노력, 즉 ‘誠之’의 자세가 필요하다. 아울러 중용의 도가 본래부터 인간의 품성 속에 내재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 도를 잃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의식적인 노력이 있을 때 현존하는 자본주의 체제의 사회적 문제점들을 선순환적으로 극복해 나갈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전통사상의 반상업적 정서
 Ⅲ. 자본주의의 발전과 인간 소외의 심화
 Ⅳ. 다양한 행복의 기준들
 Ⅴ. 중용적 삶을 위한 수양의 당위성
 Ⅵ.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순 Park, Sung-soon. 단국대 교양기초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