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마라(Māra)의 미학 — 초기불교 텍스트 중심으로 마라를 재해석하기 —

원문정보

Esthetics of Māra - Reinterpretation of Māra based on the early buddhist texts

원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ories of Māra refer to lie scattered in texts of early Buddhist scriptures. While Buddha's stories are mentioned consistently, Māra's stories may seem coarse and unfold roughl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the stories connected to Māra, which seem inconsistent at first sight, from the perspective of esthetics. The chapter in connection with "Māra viewed from the esthetics of existence" is as follows: it is that the image of Māra exists with vital force rather than different in ancient Indian relievos or sculpture. Also in philological data, Māra makes stories with strong sense of existence. The substance of the chapter associated with the "symbolical meaning of Pāvā, the diabolical place name" is as follows: with surprise, the crucial name of the place where Buddha passed away as he had received an offering from Cunda has a diabolical character in terms of etymology. It presents the ground that suggests Buddha's misfortune in Buddhist scriptures. In the theme of "Māra's ambush shown in the esthetics of concealment," Māra reveals her concealed aspect of aggression as she changes her image into many different forms. Māra, in the early Buddhist texts, poured everything he/she had to jeopardize Buddha's teachings and the way Buddha intended to go. Various forms that Māra unfolds show distinctive tones also from an esthetic point of view.

한국어

이 논문은 현대 작가 데미안 호스트의 미술작품 세계를 그 시작점으로 해서, 초기불교 텍스트에서 내재된 마라의 이야기를 소재로 문학 속의 미학의 관점으로 논하고자 하였다. 초기 불교경전 텍스트에서 마라를 언급한 이야기들은 산재되어있다. 붓다의 이야기가 일관되게 거론된다면, 마라의 이야기는 거칠어 보일 수도 있고 매끄럽지 못한 전개를 펼친다. 언뜻 보기에 일관성 없는 마라 관련 이야기를 미학의 관점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인도 고대 부조나 조각에서, 마라의 모습은 이질적이지 않고 생명력 있게 존재한다. 문헌학적 자료에서도 마라는 존재감 있게 이야기를 꾸려간다. 마라는 붓다와 그 수행자들에게 위기감 있는 존재로 그들이 마라를 극복하고 깨달음으로 가는 과정을 함께한다. ‘악마적 지명인 파바(Pāvā)가 갖는 의미’에서, 그 지명은 은유적이고 상징성인 스토리로 미학의 관점을 지녔다. 붓다가 춘다(Cunda)의 공양을 받고 돌아가시게 되는 결정적인 지명이다. 놀랍게도 어원상 악마적인 성향을 띠었다. 경전 속에서 붓다의 불행을 암시하는 근거가 된다. ‘은폐의 미학으로 나타난 마라의 매복성’이라는 주제에서, 마라가 여러 다양한 모습을 바꾸어 은폐된 모습으로 공격성을 들어낸다. 초기 불교 텍스트에서 마라는 붓다의 가르침과 붓다가 가고자 하는 길을 위태롭게 하기 위해, 자신의 역량에 따른 모든 형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마라가 벌리는 갖가지의 형상들은 독특한 색채를 띤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존재의 미학에서 바라본 마라
 Ⅲ. 악마적 지명인 파바(Pāvā)가 갖는 상징적 의미
 Ⅳ. 은폐의 미학으로 나타난 마라의 매복성
 Ⅴ. 나오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혜영 Hye-Young, Won.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박사후연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