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자인의 심미성과 사용자 자아의 심리학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자아 유형별 심미적 디자인의 영향력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Design and User's Self - Focused on Aesthetic Design’s Influence regarding Various Types of Human Self -

이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ost-modern era,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s to satisfy users' psychological needs in designs.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design has on users' self. In doing so, I argued that design aesthetics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user's self. I first discussed the meaning of 'design aesthetics' and 'self', and provided supporting psychological theory. I then examined the effects aesthetically-pleasing design has on various types of the human self. Finally, I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and how the results can be relevant for designers. The research is based mainly on review and application of literatures, and validity of the results has been supported through prior experimental findings from psychology. M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 Aesthetic design can effectively signal a positive self-concept of the user to others. (b) Aesthetic design makes the user emotionally-uplifted, giving rise to greater creativity and self-efficacy. (c) Aesthetic design's beauty premium effect is reflected back to its user, resulting in self-affirmation of one's worth-based self-esteem. (d) Aesthetic design satisfies the user's emotional needs and thereby connects the product to its user more easily, resulting in the product becoming a part of the person's extended-self.

한국어

포스트모던 사회가 시작되면서 디자인에서는 사용자의 심리적 욕구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고는 심미적 디자인이 사용자의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에 있어 심미성과 기능성을 별개의 영역으로 생각할 수 없으며 인간 삶의 가장 중요한 측면인 ‘자아’에도 디자인의 심미성이 영향을 미침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2장에서 먼저 디자인의 심미성과 자아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였다. 중점내용을 다루는 3장과 4장에서는 자아와 심미적 디자인의 연관성에 대한 심리이론 및 자아 유형별 심미적 디자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성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논의 과정에서 다양한 심리 실험 및 조사의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본고의 주장에 대한 사회과학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의 심미성이 자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심미적 디자인은 사용자의 자아개념(자아이미지)을 반영하기에 효과적인 시그널로 작용한다. 둘째, 심미적 디자인에 의해 기분이 좋아진 사용자는 창의성이 촉발되어 자아유능감의 상승을 경험한다. 셋째, 뷰티 프리미엄에 의해 발생한 심미적 디자인의 긍정적 이미지는 그 사물의 소유자에게로 확대되어 연결되며 이는 자아확신(Self-affirmation) 과정을 일으켜 가치기반 자아존중감을 부양시킨다. 넷째, 심미적 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므로 사용자와의 심리적 연결성을 확보하기가 쉽고, 이에 따라 확장자아의 대상이 되어 자아의 지원물로 작용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디자인의 심미성과 자아의 이해
  2.1. 디자인에서의 심미성
  2.2. 자아
 3. 자아와 심미성 : 연관 심리학 이론
  3.1. 소비, 소유물과 자아
  3.2. 인간욕구위계설과 시그널링
  3.3. 감성과 인지능력의 연결성_긍정적 감정의 창의성 촉발 효과
  3.4. 뷰티프리미엄(Beauty Premium) 현상
 4. 자아 유형별 심미적 디자인의 영향력 분석
  4.1. 자아개념(자아이미지)의 시그널링 역할
  4.2. 능력기반 자아존중감의 촉진 역할
  4.3. 가치기반 자아존중감의 부양 역할
  4.4. 확장자아(Extended Self)의 대상자 역할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정민 Jeongmin Lee. 가천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 산업디자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