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능성게임의 게임요소 시각화 연구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기능성게임체험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Visualization of game elements of Functional games - Focusing on the Functional Game Experience Hall of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KOCCA) -

이영숙, 신승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visual elements of functional games' gamability in therms of the designers. 10 games with characters among the games that were in functional games experience center of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according to types of functional games by purpose, characteristics of 'public policy, national defense, health care, sports and education' are reviewed. Furthermore, study on an element of fun which belongs to gamability of serious games was execu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raits and visual elements of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Lastly, by extracting dominant visualization elements of each game, type features were analyzed as well. Through the study, differentiation of visualizations according to purpose of functional games was investigated. For functional games in public policy areas, by setting an obstruction factor which belongs to behavioral factor as a dominant visualization, mainly animal type characters were shown. For educational functional games, in order to drive learning, repeat through interactive elements was used as a visualization with human being character to drive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for medical field functional games, human being characters played a role as a guide with interactions and removing obstacles as a visualization to express combination type.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might be a cornerstone for developing mobile serious characters based on visualizations of the existing serious games characters.

한국어

본 연구는 기능성게임 게임성에 대하여 디자이너의 측면에서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의 기능성게임체험관에 탑재된 게임 중 캐릭터가 등장하는 10개의 게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기능성게임의 목적별 유형으로 ‘공공정책, 국방, 의료, 스포츠, 교육분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기능성게임의 게임성에 해당하는 재미요소의 특징연구를 선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캐릭터의 특징 및 시각화 요소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게임의 지배적 시각화요소를 추출하여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게임의 목적에 따른 시각화요소의 차별화를 파악하였다. 공공정책분야의 기능성게임은 주로 행위적 요소에 해당하는 장애물요소를 지배적 시각화요소로 설정하여 주로 동물형유형의 캐릭터가 등장 하였다. 교육용기능성게임은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상호작용요소를 통한 반복을 지배적 시각화 요소로 적용하여 인간형캐릭터가 지속적 참여유도를 하였다. 의료분야 기능성게임은 인간형캐릭터가 가이드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상호작용 및 장애물제거를 주요 시각화 요소로 복합형의 유형을 표현하였다. 향후, 본 논문은 기존의 기능성게임 캐릭터 시각화요소를 토대로 모바일용 기능성 캐릭터 개발에 참고가능 하도록 초석이 되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기존연구
  2.1. 게임과 게임 요소
  2.2. 게임캐릭터의 시각화
 3. 기능성게임의 게임요소 시각화
  3.1. 기능성게임 국내외사례
  3.2. 기능성게임의 재미요소
  3.3. 기능성게임 캐릭터 유형 및 시각화요소
  3.4. 기능성게임의 게임요소 시각화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숙 Lee, Young-suk.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Ph.D.)
  • 신승윤 Shin seung-yun.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