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정책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문화 내용분석 : 2011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류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 EFL situation, most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are exclusively dependent on English textbooks to acquire the cultural factors of Engl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cultural elements in the English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all of the textbooks contain the culture part at the end of each lesson, it is insufficient for students to build a cultural schema. Second, in the analysis of cultural types, three types of cultures are presented in a similar percentage. Third, the culture el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most dominant is the culture regarding arts and literature. Forth, in nationality analysis, universal culture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more efforts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the American and English culture.

한국어

우리나라와 같이 EFL의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학생과 교사들은 영어권의 문화적 요소를 습득하기 위해 교과 서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에 문화적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서가 각 과마다 문화 고정란을 포함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문화적 개념을 습득하 는 데는 부족하다. 둘째, 정신문화, 물질문화, 그리고 행동문화의 세 가지의 유형이 비슷하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소재별 분석 결과 예술, 문학 등의 심미적 심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소재가 가장 높은 반영률을 보였다. 넷째, 문화 배경별 분석을 해본 결과 보편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 론적으로, 학생들의 영미문화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하고 고르게 문화를 다루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문화와 영어권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내용과 한국문화의 소개 등도 좀 더 많이 다루어 서 학생들이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문화의 개념
  2.2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
  2.3 외국어 교육의 목표와 문화소재
 3. 교과서 분석
  3.1 분석 대상 교과서 및 분석 기준
  3.2 교과서 분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류다영 Da-Young Ryu. 중원대학교 교양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