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환경방사선감시기의 NaI(Tl) 검출기를 이용한 조사선량률 결정방법
초록
영어
The energy band and the G-factor method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exposure rate from the measured spectrum using a NaI(Tl) scintillation detector. First, G-factors of a 3“ΦX3” NaI(Tl) detector mounted to a EFRD 3300, which means the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were calculated for several directions of incident photons through the MCNP modeling, and the optimum G-factor applicable to that monitor was then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both the energy band method and the G-factor method. The results for these spectrometric determination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dose rate from a HPIC radiation monitor around a EFRD 3300. The measured value at the EFRD 3300 based on a 3“ΦX3” NaI(Tl) detector was 7.7 μR/h and its difference was shown about 3 μR/h,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a HPIC radiation moditor. Since a HPIC is known to be able to measure cosmic rays with the relatively high energy,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caused by cosmic rays which were not detected in a 3“ΦX3” NaI(Tl) detector.
한국어
NaI(Tl) 섬광검출기로 측정한 에너지 스펙트럼으로부터 공간 감마 선량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에너지밴드 방법과 G-factor 방법의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운영 중인 환경방사선감시기 EFRD 3300에 장착된 3“ΦX3” NaI(Tl) 검출기의 G-factor를 MCNP 모델링을 통하여 입사 방사선의 방향에 따라 각각 구하였으며, 이로부터 계산된 선량률과 에너지밴드 방법으로 계산된 결과의 차이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EFRD 3300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G-factor 값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EFRD 3300 방사선감시기가 운영되고 있는 지역 주변에 위치한 HPIC 방사선감시기의 선량률과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3“ΦX3” NaI(Tl) 검출기 기반의 EFRD 3300에서 7.7 μR/h의 측정값을 얻어 약 3 μR/h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HPIC 방사선감시기는 고에너지 우주방사선량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차이는 3“ΦX3” NaI 계측기로 측정되지 못하는 고에너지 영역의 우주방사선에 의한 영향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선량환산 방법
2.2 EFRD 3300
3. 결과 및 고찰
3.1 에너지밴드 방법에 의한 선량률
3.2 G-factor 방법에 의한 선량률
3.3 HPIC 측정 결과와의 비교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