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원문정보

The Educational Roles of Interactive Spaces for Children in Contemporary Art Museums

정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 museums today provide educational spaces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interactive activities. Such interactive spaces open all the time during museums’ open hours; thus, all family visitors are able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 regardless of their plan. Interactive spaces often pursue providing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visitors to connect their prior knowledge and new experiences in art museum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and exhibit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investigate conditions of interactive spaces in art museums and the logics of interpreting their collections through two cases: Museum of Modern Art’s Art Lab: People and the Massachusetts Museum of Comtemporary Art’s Curiosity. The two educational spaces have different educational mission and natures based on how they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ctions; however, both spaces encourage “individuals or group of people working together to understand real objects or artworks through physical exploration which involves choice and initiative” (Caulton, 1998). Through providing practices to understand visual metaphor and symbolic function, both interactive spaces induce child visitors to build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fundamental languages of contemporary art collections of the museums. The spaces also provide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s without restricts of no-touch rule for artworks.

한국어

동시대 미술관은 어린 아동관객을 위한 교육 요소로서 인터렉티브한 활동을 유도하는 상설 교육공간을 설치하고 있다. 미술관의 아동 관람객을 위한 상설공간은 교육프로그램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미술관의 모든 가족 관람객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적극적인 의사 교환을 통해 학습자의 과거의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능동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렉티브 학 습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MoMA의 “미술 실험실: 인물”과 MassMoCA의 “호기심” 두 상설 교육 공간의 사례를 통해 인터렉티브 공간의 조건과 소장품에 대한 해석의 논리를 연구하였다. 두 공간은 소 장품의 성격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따라 다른 교육목표와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신체적 탐구활동”을 통해 실제 소장품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 공”(Caulton, 1998)하는 인터렉티브한 활동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두 인터렉티브 공간의 교육활동은 현대미술의 시각적 은유, 상징, 병치를 연습해보는 활동을 통해, 특정한 몇 개의 소장품을 이해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소장품 전체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력을 키우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놀이 는 통한 학습”이라는 상황을 제시하여 상상력을 통해서 이를 발전시켜, 아동이 자신의 현 상황을 다른 상황으로 치환하여 자신을 적용시키고, 전인적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동이 낯설 음에서 벗어나 편안함을 느끼는 교육 환경 안에서 소장품에 쉽게 접근, 참여하도록 목표하고 있다.

목차

요약
 서론
 인터렉티브 공간(interactive space)의 개념
 인터렉티브 전시의 역사
 현대미술관 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실제
  뉴욕 현대미술관(MoMA) 미술 실험실: 인물
  자석 벽에 기하학적 얼굴 만들기(Make a giant geometric face on a magnetic wall)
  인물을 그려보세요!(Draw figures)
  활동 상자(Activity Boxes)
  그림자극을 위한 종이인형을 만들고 극으로 재현하기
 메사츄세스 현대미술관의 호기심
 현대미술관 내에 인터렉티브 공간의 교육적 역할과 조건
  현대미술 작품을 해석하는 역량의 강화
  놀이를 통해 추상적 사고력 강화
  참여유도를 이끌어내는 학습 환경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혜연 Hye-Youn Chung. 홍익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