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권과 국군통수권의 관계 및 병정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ty and Commander-in-Chief of the Armed Forces, Military administration & command

김성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suggest tha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should delay the date to hand ov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It is fixed on December 1, 2015. Typically the president's position as head of the executive authority is coming from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rmed Forces. Now we should know the commander-in-chief of the nation's forces and the meaning of OPC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ty and the commander-in-chief of the nation's forces is a little different. This is one of the efforts to enlarge the efficiency of Armed Forces. Of course, operational control is little control of the sovereign personnel, logistics, administration, discipline, organizing, training, etc. It does not control all matters. The current ROK Combined Forces Command itself is made with reference to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If we insist our own sovereignty is infringed because of OPCON, that claim is coated in irreparable damage to the national interest.

한국어

한국정부는 미국정부에게 2015년 12월 1일로 예정된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의 전환을 재연기할 것을 제안하였다고한다. 군 통수권은 국가의 여건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행정권의 수반으로서 대통령의 지위에서 나오는 권한이며 국군 최고사령관으로서 국군을 지휘․통솔하는 것을 말한다. 전작권과 관련해서는 작전통제권(Operational Control Authority)이 무엇이냐부터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주권과 국군통수권의 관계, 병정관계를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연구해 보면 작전통제권은 주권침해라기보다는군사적인 편의에 의한 보편적인 지휘관계의 형태라는 사실이다. 작전통제권은 양병(養兵)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 용병(用兵) 중에서도 당시 부여된 임무에 관한 권한만을 통제하는 제한적인 권한이다. 이것은 모든 부대들의 노력이 하나의방향을 지향하도록 지휘를 단일화하기 위한 편의에 불과하다. 당연히 작전통제권은 주권에 해당되는 인사, 군수, 행정,군기, 편성, 훈련 등에 관한 사항은 통제하지 않는다. 현재의 한·미연합사 자체가 북대서양조약기구를 참고하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한·미연합사령관은 한·미 양국 합참의장에 의한 공동지휘를 받도록 되어 있어 미군의 입장에서만 한·미양국 군사력을 운영할 수 없다. 전시작전권 환수 문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환경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고 검토한 사안임으로 국군통수권과 병정관계를 정확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주장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주권과 국군통수권의 관계
  2.1. 주권의 의미와 법적 성격
  2.2. 국군통수권의 의미와 법적 성격
  2.3. 주권과 국군통수권과의 관계
  2.4. 국군통수권의 한계와 제한
 3. 현행법상 병정관계와 국군조직법
  3.1. 군정ㆍ군령의 의미
  3.2. 현행법상 병정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우 Sung Woo Kim. 영남이공대학교 사회실무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