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u-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보안 체계 확보를 위한 5단계 보안위험도 평가모델 설계

원문정보

A Study on Five Levels of Security Risk Assessment Model Design for Ensuring the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노시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l u-Health system has security vulnerabilities. This vulnerability locally(local) or network(network) is on the potential risk. Smart environmen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d-hoc net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s, u-health are major factor to increase the security vulnerability. u-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user terminal domain interval, interval public network infrastructure, networking section, the intranet are divided into sections. Health information systems by separating domain specific reason to assess vulnerability vulnerability countermeasure for each domain are different. u-Healthcare System 5 layers of security risk assessment system for domain-specific security vulnerability diagnosis system designed to take the security measures are needed. If you use this proposed model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vaguely USN-based health information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ies diagnostic measures can be done more systematically provide a model.

한국어

모든 u-헬스케어 시스템은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 취약점은 로컬(local) 또는 네트워크(network) 상에서 잠재적인 위험이 된다. 의료정보 기술의 Smart 환경, Ad-hoc networking, 무선통신 환경은, u-헬스케어 보안 취약성을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u-헬스케어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은 사용자단말 구간, 공중통신망 인프라구간 ,네트워킹구간, 인트라넷구간으로 구분된다.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별을 구분하여 취약점을 평가하는 이유는 도메인별로 취약점에대한 대처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u-헬스케어시스템 5단계의 보안위험도 평가체계는 도메인별 보안취약성 진단체계를설계하여 보안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안하는 모델을 사용할 경우 현재까지 막연하게 진행 되어온 USN 기반 의료정보네트워크 보안취약성 진단대책을 좀 더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5단계 취약점 평가관리 필요성
 3. 5단계 보안위험도 평가체계설계
  3.1 제1단계 : 트래픽 연동구간 파악
  3.2 제2단계 : 트래픽 도메인 진단
  3.3 제3단계 : 도메인별 취약점 진단체계
  3.4 제4단계 : 위험도 평가체계 설계
  3.5 제5단계 : 위험도 평가작업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시춘 Si Choon Noh.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