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좋은 수업’의 의미 탐색과 수업전문성 평가준거로서의 활용 방안 -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search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and Its Utilization as a Valuation Criteria of Teaching Expertise - focused on social studies classes -

허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many studies about ‘good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is actively in progress. However,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actually don’t contribute to teaching improvement at schools mu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of using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 as a practical improvement tool in teaching. Firstly,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evidence for why considerations for the individual learner, teacher-learner learning alliance,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nd teaching expertise as an understanding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the teachers believe good teaching is. Teachers recognize good teach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teaching subject. They think teacher’s subject identit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a learning alliance and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re important. But,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mainly focuses on teachers’ teaching skills in one period of teaching. Therefore,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that i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quality of education, the evaluation index reflecting the domain-specific factors and the expertise index which can evaluate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should be provided. With this, the problems result from the gap between appreciation of good teaching and practical efforts to improve teaching expected to be solved.

한국어

최근 들어 ‘좋은 수업’,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학교현장의 수업개선에 실질적으로 크게 공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연구 결과를 실질적인 수업개선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좋은 수업’에 대한 이해의 맥락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고려,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학습동맹, 민주적인 수업문화, 이해로서의 수업전문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과 수업평가 제도상에 반영된 인식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과적 기반을 토대로 수업을 인식하는 특성이 있고 학습동맹적 관계와 민주적인 수업문화, 본시 수업진행 장면만으로는 관찰하기 힘든 수업목표에 담긴 교사 정체성 등의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현행 수업평가제도에는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따라서 현행 수업평가제도가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수업을 개선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영역특수적 요소가 적극 반영되고, 수업 전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 지표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개선의 실천노력 간에 나타나는 괴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들어가는 말
 II. ‘좋은 수업’과 ‘수업 전문성’
  1.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2. 수업 전문성의 이해: 두 가지 관점
 III. ‘좋은 수업’에 관한 현장 이해와 활용의 실제
  1.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2. 수업평가지표에 반영된 ‘좋은 수업’의 의미
 IV. ‘좋은 수업’ 의미의 수업전문성 평가준거 활용 방안
 V. 나오는 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수미 Heo, Su-Mi.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