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공공쟁점 중심 교육에서 한국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Role Orientation on Public Issues-Centered Education

오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is study researches on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role perception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We try to understand about the practice and base on the classroom discussion. Reclassified of Kelly’ and Hess’ theory about teacher’s role on issues-centered education, it is surveyed on the type of teacher’s role.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n analysis of questionnaire. The first, it is revealed that Korean social study teachers have various type of role in classroom discussion. There are all ideal type of ‘Denial’, ‘Avoidance’, ‘Privilege’, and ‘Balance(included Neutrality and Participation)’. The second, a few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stick with a certain teacher’s role. Some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stick with a their role who have the ‘Denial’, ‘Privilege’, and ‘Balance’ type, except Avoidance role. The last, Even though some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don’t want to accept public issue-centered discussion., there are a lot of ‘Neurality’ type oriented social studies teachers. ‘Neurality’ type oriented social studies teachers introduce all competing viewpoint to students but they try to conceal their standpoints.

한국어

본 연구는 공공쟁점 중심 교육에서 한국 사회과 교사가 어떤 교사 역할을 지향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역할 지향성의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과 교사는 공공쟁점 중심 교육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상정된 모든 역할 유형이 실제로 나타났는데, 공공쟁점에 대한 논쟁성을 부정하여 토론학습으로 다루려하지 않는 이른바 ‘거부형’ 지향 교사, 쟁점의 논쟁성은 인정하지만 이를 사회과 수업시간에 다루는 것을 꺼려하는 ‘회피형’ 지향 교사와, 교사 자신이 지지하는 관점을 학생들이 수용하도록 하려는 ‘특권형’ 교사도 존재하였다. 둘째, 공공쟁점에 대한 경쟁하는 다양한 입장과 견해를 균형 있게 다루면서 토론학습을 실현하고자 하는 이른바 ‘균형형’ 역할 지향 사회과 교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특히, ‘균형형’ 역할 지향 사회과 교사들 중에서는 자신의 입장 표출을 하지 않으려는 교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부의 사회과 교사는 자신이 지향하는 교사 역할 유형을 일관성 있게 고수하고자 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회피형’ 역할 지향 교사를 제외한 모든 역할유형에서 일부의 교사는 제시된 모든 공공쟁점에 대하여 하나의 교사 역할 유형만을 선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2. 연구 문제
 II. 쟁점 중심 교육의 교사 역할 유형에 선행연구의 논점
  1. Kelly의 교사 역할 유형론의 대안 가능성
  2. 기존 실증연구의 논점: 어떤 쟁점이 누구에게 금기주제로 인식되는가?
 III. 쟁점 중심 교육의 교사 역할의 재범주화
  1. Kelly와 Hess가 제안한 교사 역할 유형의 특징
  2. 교사 역할론의 비교를 통한 재유형화
 IV.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과 설문지의 구안
  2. 연구대상
  3. 분석 방법
 V. 분석 결과
  1. 이론적으로 제안된 다양한 교사 역할 유형의 실재 가능성
  2. 일부 교사의 견고하고 일관성있는 교사 역할 수행 가능성
  3. 교사 자신의 견해 표출을 꺼려하는 다수의 ‘균형형’ 교사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연주 Oh, Yeon Ju.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