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사회과교육에서 혁신교육운동의 적용과 문제- 경기도교육청의 ‘창의지성교육’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roblems and Applications of Innovative Education Movem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Centered on ‘Creative Intellectual Education’ of Kyunggi Office of Education

민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arried over to the open classroom education in 1990’s to ‘Creative Intellectual Education(hereafter CIE)’ of Kyunggi Office of Education. CIE persues groundbreaking innovation of education and is leading tangible results through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learning-centered class, and innovation of evaluation. The critical thinking emphasized in CIE is closely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s the innovative education movem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applied, subject-oriente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being rapidly settled. This new re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n that it focuses only on the total class times and standards of accomplishment and aims a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same grade teachers not the result-centered integration. The subject-oriente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provides real link betwee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and their life. Meanwhile, putting efforts in making result-centered curriculum or introducing outstanding cases of other schools blindedly may lead to a contrary effect.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of Kyunggi Office of Education advocating CIE is interrelated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emphasizing ‘social practice’ and ‘exercise and experience.’ ‘Making one’s own thought’ based on critical thinking can also be considered to have same roots as problem solving and investigation of social studies. It can be regarded as a great success of CIE that teachers has tried various activities, used meaningful material and let students create knowledge or ‘make their own thoughts’ through active interaction. However, if CIE is misunderstood as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outstanding cases, compelling abstruse texts or suggesting the table of viewpoint for evaluation, it will impede creative class and fade in the mists of history like open classroom education. It is obvious that slogans, results, and competitions can not help achieve educational innovation. Those innovation never lasts long and can not receive appreciation.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an take its place through not slogans but accumulated experiences, not outputs but voluntary innovation of teachers in classrooms, and not competition but shaping of class culture.

한국어

한국의 혁신교육운동은 1990년대 후반의 열린교육운동을 거쳐 현재 창의지성교육을 내세운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창의지성교육은 교육과정의 재구성, 배움중심수업, 평가혁신 등을 통해 학교 교육의 일대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창의지성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사고력은 사회과의 민주시민교육과 밀접히 연결된다. 사회과에서 혁신교육 운동이 적용되면서 주제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다른 점은 총시수와 성취기준만을 염두에 둔다는 점과 결과중심의 통합이 아닌 동학년 단위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은 학습자의 발달 및 삶과 연결 짓는 실제적인 고리를 제공한다. 결과중심의 교육과정 작성에만 힘을 기울이거나 학교 상황에 맞지 않는 우수 사례 중심의 도입을 서두를 경우 역효과가 날 것으로 보인다. 창의지성교육을 내세운 경기도교육청의 혁신교육운동은 ‘사회적 실천’과 ‘경험과 체험’을 강조하는 등 사회과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또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한 ‘자기생각 만들기’는 사회과의 문제해결 및 탐구력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교사들이 사회과수업에서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의미 있는 자료를 활용하며,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의 창조 혹은 자기생각만들기를 하도록 한 것은 창의지성교육의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결과와 우수사례 중심의 교육과정재구성을 추진하거나 고전 중심의 난해한 창의지성텍스트를 강요하고 관점표를 제시하여 오히려 창의적인 수업을 저해하는 창의지성교육은 열린교육이나 그 이전의 혁신교육운동이 그러했듯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이다. 구호나 실적, 혹은 대회를 통해 교육혁신을 이뤄낼 수 없음은 자명하다. 그러한 혁신은 오래가지 못하며 공감을 얻을 수 없다. 구호가 아닌 축척된 실천으로, 실적이 아닌 교사들의 자발적인 수업 혁신으로, 그리고 대회가 아닌 수업 문화의 형성을 통해 사회과의 혁신교육 운동은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 론
 II. 혁신교육운동과 사회과교육
  1. 창의지성교육의 적용
  2. 배움중심수업을 통한 수업혁신
 III. 사회과 혁신 교육 적용의 의의와 한계
  1.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의 적용과 어려움
  2. 배움중심수업의 일반화와 한계
 IV.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윤 Min Yoon.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