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법(曆法)과 천문(天文) 정보로 본 『朴通事』

원문정보

역법(曆法)과 천문(天文) 정보로 본 『박통사』

서형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read Bakthongsa from the perspectives of astronomy, calendar, and horoscope. The book Bakthongsa had been published in about 1355 AD, which is not present anymore. But the book has revised edition that was published from 1480 to 1517 AD. Therefore, the book Bakthongsa represent the uncertain time-depth, in some cases 14th century's, and in other cases 15th or 16th century's. In addition to this problem, in some text, there are some error that cannot be read reasonably. So it is needed that the book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extual criticism. I compared the information of astronomy, calendar, horoscope. That information spans from 14th century to 16th century. As a result, it can be clearly divided the 14th century's contents from the 15th or 16th century's contents.

한국어

이 논문은 󰡔朴通事󰡕를 理解하기 위한 方法으로 天文과 曆法 情報를 適用해 보려는 데 目的이 있다. 󰡔朴通事󰡕는 14세기 중반의 사실을 바탕으로 舊本{ 󰡔朴通事󰡕가 처음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세기 말에 이 舊本{을 修訂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언해를 곁들인 刪改本{ 계열의 現傳 {飜譯}󰡔朴通事󰡕는 늦어도 16세기 초까지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刪改本{ 계열의 󰡔朴通事󰡕에는 舊本{의 內容일 것과, 刪改 당시의 狀況일 것이 뒤섞여 있다. 또한 文面 그대로는 事實에 附合하지 않는 部分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現傳 最古本{인 刪改本{ 계열의 {飜譯}󰡔朴通事󰡕를 이해하기 위하여,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면 󰡔朴通事󰡕 卷中 73話에 전하는 星占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고, 卷下 97話에 남아 있는 日字 記錄의 正誤도 바로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천문과 역법 정보를 이용하여 󰡔朴通事󰡕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朴通事󰡕에 담긴 사회・문화적 사실을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舊本{ 당시의 내용과 刪改된 부분을 정확히 갈라내어 이해할 수 있었다. 刪改 科程에서 一部 誤字와 脫字가 있은 채로 전해지고 있는 部分도 舊本{의 表\現을 復原하여 理解할 수 있게 되었다. 曆法과 關聯되어 있는 內容을 檢討함으로써 이 會話書의 登場人物은 現代 韓國의 文化와 꼭 같은 방식을 따랐음을 確認하였다.

목차

요약
 1. 도입
 2. 중세의 천문관(天文觀)
 3. 수법(宿法)을 활용한 『朴通事』  이해
 4. 역법(曆法)을 활용한 『朴通事』
의배경 이해
 5. 남은 문제
 참고자료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형국 Seo, Hyeong Guk. 전북대학교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