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ntent Schema in Reading Comprehension

원문정보

독해력에 있어서 배경지식의 중요성

Eunmi Se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에서는 한국학생들과 필리핀학생들의 문화나 전공에 관한 배경지식이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살펴보았다. 한국학생들은 당시 필리핀국립대학교의 '집중영어회화' 프로그램에서 공부를 하고 있었고, 필리핀 학생들은 이 대학의 학생들이었다. 각각 40명의 학생들이 이 연구에 응했다. 학생들의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사용된 도구는 문화적인 요소가 잘 반영된 5개의 한국민화와 5개의 필리핀민화였다. 또한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지식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분야에서 각각 5개씩의 지문이 사용되었다. 시험은 객관식과 지문을 읽은 후 기억한 것을 쓰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시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필리핀 민화에서 보다 한국의 민화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쓰기 테스트의 경우 문법적으로 정확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중요한 것은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사용된 지문이 별로 전문적인 내용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필리핀 학생들의 경우는, 이미 영어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민화나 전공의 배경지식이 독해력테스트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별로 차이가 없었다. 이 실험을 통해서 한국 학생들의 경우는 한국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독해력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BACKGROUND
 III. METHODS AND PROCEDURE
 IV. RESULTS AND DISCUSSION
 V. IMPLICATIONS FOR LANGUAGE TEACHING
 인용 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Eunmi Seo 서은미. 전북산업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