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明律의 변천과 문체, 그리고 『大明律直解』의 저본

원문정보

명률의 변천과 문체, 그리고 『대명률직해』의 저본

朴盛鍾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riginal Ming code for Daemyeongryuljikhae(大明律直解) published in A.D. 1395 is not the one issued in A.D. 1389. The Ming code in the year 1389 contains 460 articles, but on the contents page of Daemyeongryuljikhae it says that the total amount of articles is 456. It is certain that the original script code for Daemyeongryuljikhae is the one issued before September, 1383. The absence of two examples proves this fact. One is the article which prescribes that every government official should put a identifying plate around his neck according to his official grade when entering emperor's palace. And the other is an additional punishment that officer should be unwillingly moved into another place when committing a bribery misdeed. The oldest and good version of Daemyeongryuljikhae is now preserved at Hosabunko(蓬左文庫), a book-collection library located in Nagoya(名古屋) of Japan. Hosabunko's version actually contains 458 articles and the one-level higher punishment regulation against committing adultery with a legal daughter of his re-married wife's own. These two additional articles and the regulation seem to have been supplemented at the time of publishment of Daemyeongryuljikhae. Ming code and its related books can be arranged in order from the oldest as follows; Hosabunko’s version of Daemyeongryuljikhae → Yulhaebyeonui(律解辨疑) in A.D. 1386 → Daemyeongryulganghae(大明律講解) → Ming code of Hongwu(洪 武) 30th year. It can be paraphrased into follows; Ming code containing 456 articles based on Hongwu 9th code → Hongwu 18-19th code → Hongwu 22nd Ming code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nd Dangryulsoui(唐律疏議) had been also too much alike. The sentence style of Ming code is neither colloquial Chinese nor imun(吏文), which had been written on official government's documents by Chinese clerks. But learned Koreans had found a little difficulties nonetheless, because more than a few words and expressions originated from imun are included in Ming code.

한국어

󰡔大明律直解󰡕에 실린 明律은 洪武22年律이 아니다. 󰡔대명률직해󰡕 緫目의 ‘凡}四百五十\六條 計三十\卷’은 22년율의 30卷 460條와 분명 다르다. 󰡔明太祖實錄󰡕의 기사들을 검토해 본 결과 󰡔대명률직해󰡕 원간본의 저본은 9년율을 바탕으로 하되 10개 條가 늘어난, 홍무16년(1383) 9월 이전에 반행된 明律이다. 이것은 새로 제정한 朝叅牙牌律이 수록되지 않았으며, 刑律 受贓 官吏受財條에 刑을 가중한 ‘各遷徙’라는 문구가 삽입되지 않은 사실로써 방증된다. 󰡔대명률직해󰡕 異本{들 중에는 蓬左文庫本{ 계통이 가장 이른 선본이다. 그런데 蓬左文庫本{에는 저본에 없던 율문이 추록된 것들이 있다. 緫目과는 달리 본문에서는 刑律 訴訟篇과 受贓篇이 한 조씩 늘어 각각 12조와 11조이며, 홍무 17년(1384) 12월 姦乞養{義女者에 대한 加一等 처벌 내용이 이두문 번역 없이 삽입되어 있다. 明律을 기준으로 보면 律書들은 시간상으로 󰡔大明律直解󰡕 蓬左文庫本{ → 律解辨疑 → 󰡔大明律講解󰡕 → 洪武30年律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洪武9年律에 바탕을 둔 456조의 明律 → 洪武18-19年律 → 洪武22年律 → 洪武30年律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 준다. 明律의 율문은 󰡔唐律疏議󰡕와 마찬가지로 고전한문에 바탕을 둔 문어투로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明律의 문체는 白話文도 아니요, 漢文吏牘體나 蒙文直譯體, 그리고 漢兒言語를 기록한 漢吏文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明律이 조선의 관원과 식자층에게 다소 어렵게 인식된 까닭은 吏文에 자주 쓰이는 용어들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
 1. 들어가기
 2. 明律의 변천과  『
大明律直解』의 저본 
  2.1. 明律의 변천과 그 성격 개관
  2.2. 高麗 末 律書 논의와 전개 과정
  2.3. 『大明律直解』의 체재와 저본
 3. 洪武 年間 律文의 문체
  3.1. 『 唐律疏議』
와 明律의 문체
  3.2. 白話文 문서
  3.3. 『 至正條格』
의 문체
 4. 마무리
 참고문헌

저자정보

  • 朴盛鍾 박성종. 관동대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