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class observation and reflective assessment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micro-teaching analysi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eatures of class observation and evaluation and effects of re-class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ter taking a simulated teaching on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class to 25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ed class performance of colleagues as excellent and showed centrality bias in the evaluation index reaction. The most frequent observed items were ‘class media utilization’ and ‘feedback provision’, but there was not much observation on ‘specialty’ or ‘class group operation.’ Secondl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ok self-supervision based on self-reflection when they evaluated themselves rather than evaluating colleagues. Thus, the assessment of their class was overall low. Nonetheless, the assessment items determining good or poor performance items are relatively identical with colleague assessment. Thirdly, in the reflective re-clas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more positive assessment than in the 1st class. As a result of written interview, the strength of class included teachers’ character or personality, and the weakness was mainly related to class performance technique stressing the necessity of class experience. Fourthl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have reflection on class performance technique or disabled students instruction skill rather than practical arts subject theory or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reflective journal. And, they also tended to find out causes of such reflection from the emotional condition of individuals (ex. Excessive tension). Together with this, they had extensive reflection o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of disabled students and the reaction on the problematic behavior measurement technology as those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25명의 예비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에 대한 모의수업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특수교육교사의 수업관찰 및 평가의 특징과 재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예비특수교사들의 주요 반성 요소 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동료의 수업 수행 능력을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 척도 반응에서는 중간반응 편파를 보였다. 가장 관찰이 빈번히 이루어진 항목은 ‘수업매 체 활용’과 ‘피드백 제공’ 항목이었고 ‘전문성’이나 ‘학습 집단 운영’ 등에 대한 관찰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예비특수교사들은 동료를 평가할 때보다 자신을 평가할 때 자 기반성에 기초한 자기장학을 함으로써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 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잘했거나 미흡하다고 판단하는 항목의 평가들이 동료 평가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셋째, 반성적 재 수업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1차 수업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서면 인터뷰 결과 수업의 강점 요인으로는 수업자 자신의 성격이나 기질 관련 답변을, 약점 요인으로는 수업 수행 기술 관련 답변을 하였으며 수 업 경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넷째, 예비특수교사들은 반성적 저널에서 실과 교과 이 론이나 실천적 지식에 대한 반성보다는 수업 진행 기술이나 장애학생 지도 기술에 대한 반성이 많았으며 이러한 반성의 원인을 개인의 정서적 상태(예, 지나친 긴장)에서 찾는 경향을 보였다. 그와 함께 특수교육 전공자로서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IEP)이나 문제행동 대처 기술에 대한 반성이 많았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교수경험 훈련으로서 마이크로티칭
2. 마이크로티칭의 효과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실과 모의수업에 대한 동료의 관찰 및 평가 분석
2. 실과 모의수업에 대한 자기평가 분석
3. 1차수업과 재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 비교 분석과 반성
4. 반성적 저널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