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ldier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초록
영어
This study of soldiers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eotteohanji landscape characteristics analyzed and choreography reac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oldiers as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LMT) aim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choreography placed. The study of the economy in the area Gyeonggi region army soldiers targets were 304 people, as a research tool to test and suicidal thoughts depression scale tow tests and Kaito (2012) was used for the LMT of choreography. Analysis of landscape indicators based choreography Ki Jeong-hee (2009) interpreted the LMT of choreography indicators and scoring criteria were used in this study to reconfigure, components (integration, use of space, realism of shape, quality of drawing line, relation with frame line, entrance of house shape, bridge, additional element) 8 and color indicators (coloring degree, appropriateness of element coloring, stability of element coloring, number of colors, color mixing) with five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ght of soldiers choreography respon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figuration of eight indicators of integration, realism of shape, entrance of house shape, painted five appropriateness of element coloring, stability of element color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bility of color appeared, according to the landscape of the soldiers committed suicide thinking choreography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urface Al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ppropriateness of element coloring in coloring index of 5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according to the soldier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landscape choreography response characteristics appear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pressed and suicidal soldiers choreography landscape accident can be a useful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at proposes.
한국어
본 연구는 군인들의 우울 및 자살사고에 따른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이 어떠한지를 분 석하고, 군인들의 우울 및 자살사고를 측정하는 진단도구로서 풍경구성법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에 군복무중인 육군 304명을 대상으 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우울척도검사와 자살사고척도검사 및 가이토우(2012)의 풍 경구성법을 사용하였다. 풍경구성법 해석지표는 기정희(2009)의 풍경구성법 해석지표 와 채점기준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성지표(통합성. 공간사용. 형태의 사실성. 소묘선의 질. 테두리선과의 관계, 집의 형태에서 출입구, 다리, 부가요 소) 8개와 채색지표(채색정도, 요소채색의 적절성, 요소채색의 안정성, 색의 수, 혼색) 5개로 구분하여 반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군인들의 풍경구성법 반응특성 은 우울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성지표 8개 중에서 통합성, 형태의 사실성, 집의 형태에서 출입구가, 채색지표 5개 중에서 채색의 적절성, 채색의 안정성 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군인들의 자살사고에 따른 풍경구성법의 구성지표 전 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채색지표 5개 중에서 채색의 적절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인들의 우울 및 자살사고에 따른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풍경구성법이 군인들의 우울 및 자 살사고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진단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군인의 우울 및 자살사고
2. 풍경구성법의 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군인들의 우울수준에 따른 풍경구성법 반응특성
2. 군인들의 자살사고수준에 따른 풍경구성법 반응특성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