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로 경사도에 의한 역세권 주거지의 상업화 특성 분석 - 서울시 5개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ommercia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w Rise Residential Districts in Inner-city Railway Station Area by the Road Gradient - Focused on 5 Cases in Seoul -

윤용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 the commercializa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which are reveal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ation and a residential district by investigating their relation with road gradient, as one method to understand railway station areas. Through the research that are based on literature, field survey and urban planning map, it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mmercialization characteristic and the road gradient with selected cases under similar urban condition.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finds the difference of non-commercial road gradient depending on the width of road and the scope of inner-city railway station area in low rise residential districts. ; the wider width of road become, the more non-commercial gradient increase. In other words, the width of road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zoning, the hierarchy of road, the distance in respect of the non-commercial road gradient. Second, it finds that the gradient of a entry to residential road mainly affect the commercialization of low rise residential districts. The higher gradient of middle and end section to residential road is, the less low rise residential districts commercialize even if the gradient of a entry to residential road is lower.

한국어

기존의 도시개발 태도를 지양하고 지속가능한 역세권의 도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해 역세권의 도시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역세권의 도시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역세권의 현상 중 주거지 상업화 특성을 도로의 경사도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관련 문헌 고찰과 사례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한 적합한 사례 선정을 하였다. 또한 주거지 상업화와 도로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주거지 상업화 시설의 구분과 상업화 수치 그리고 시설수를 조사·분석하였다. 첫째, 주거지 도로 폭별 역세권 범위에 따라 비상업화 경사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거지 도로 폭이 넓을수록 비상업화 경사도가 높아졌다. 즉, 용도지역, 도로의 위계, 역과의 거리도 도로의 경사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도로 폭이 도로의 경사도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폭 6m 도로의 경우, 1차 역세권은 경사도 2.0°에서부터, 2차 역세권은 경사도 1.2에서부터 주거지 상업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폭 8m 도로의 경우, 사례의 부족으로 1차 역세권 비상업화 경사도를 알 수 없었으나, 2차 역세권은 경사도 1.3°에서부터 주거지 상업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주거지 도로구간의 초입 경사도가 주거지 상업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주거지 도로구간의 초입 경사도가 낮아도 중·후반 경사도가 높아지면 상업화가 잘 발생하지 않았다. 즉, 도로의 경사도는 보행의 편의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거지 상업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이론 고찰
  2.1 역세권과 주거지 상업화의 개념
  2.2 선행 연구
 3. 사례 분석의 전제와 사례 선정
  3.1 분석의 전제
  3.2 사례 선정
 4. 도로의 경사도와 주거지 상업화
  4.1 분석 방법
  4.2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용석 Yoon, Yong-Suk. 한경대학교 건축학부 시간강사,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