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Transition Space of Modern Catholic Churches by the Delphi Survey - Focused on the actual analysis of transition space of Modern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
초록
영어
Traditionally, the transition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core elements for Catholic Church design. It is still not only useful point for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 design but important issue for Incultur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However,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tend to disregard its importance within the influence of 20th Modern Architecture; Architectural Functionalism and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19th century Liturgical Movement and Vatican Ⅱ (1962-65).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establish a new objec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 transition space of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based on Delphi Survey and actual analysis of 12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한국어
현대의 성당은 기능중심의 20세기 모더니즘건축 의 영향과 2차 바티칸공의회에 의한 가톨릭교회의 민주화와 세속화의 영향으로 내부 전례공간의 기능과 효용성에 초점을 두면서, 종교적 체험의 출발점인 전이공간을 다소 간과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그러다보니 전이공간에 대한 뚜렷한 건축적 기준이 부재한 상황이고, 혹 있다고 해도 상당히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현대성당 또한 대부분이 이러한 흐름과 유사한 상황에 놓여있다. 하지만 세속과는 구분되는 신성한 공간으로서의 성당의 본질적인 속성은 결코 사라질 수 없으므로, 성과 속을 잇는 전이공간의 의미는 현재에도 여전히 필연적이다. 그리고 점차 사회적 기능을 중시하는 현대성당의 변화과정에서 전이공간은 외부의 이웃 사회와 소통의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우리의 종교 문화적 특성상 성당 건축의 토착화란 측면에서도 반드시 가만해야 될 요소이다. 이런 맥락에서 전술한 성당 전이공간의 구체적이고도 객관적인 공간계획 지침을 마련하는 것은, 건축가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측면에서도 사용자인 천주교사제와 일반신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본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성당 전이공간의 구성과 의미
3. 델파이조사로 본 성당건축 전이공간의 구성기준
4. 부산교구 주요 현대성당의 전이공간 종합분석
4.1 종합유형 C1 세부 분석
4.2 종합유형 C2 세부 분석
4.3 종합유형 C3 세부 분석
4.4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Denis R. Mcnamara, (2009),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and the Sprit of the Liturgy, Hillenbrand Books.
- 2日本建築學會, (1987), 建築․都市計画のため調査․分析方法, 當公社.
- 3芦原義信, (2009), 건축의 외부공간 , 기문당.
- 4구약 성서
- 5김정신(1994), 한국 가톨릭 성당 건축사, 한국교회사연 구소.
- 6김정신(2004), 유럽 현대 교회건축, 가톨릭출판사
- 7부산교구사 편찬위원회/한국교회사연구소(1990), 교구 30 년사, 천주교부산교구.
- 8이종성(2001), 연구방법 21: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 9이홍기(2010), 미사 전례, 분도출판사.
- 10정시춘(2000), 교회건축의 이해, 발언
- 11정인하(1996), 김수근 건축론, 미건사.
- 12한국교회사연구소(1998), 한국 가톨릭 대사전.
- 13한국천주교 주교회의(2011), 미사 경본 총지침, 한국천 주교 중앙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