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위험 및 안전분야 규제영향분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위험분석(risk analysis)의 도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tudy on Providing Institutional Measures for Regulatory Impact Analysis in Areas of Risk and Security in Korea - Focused on Introducing Risk Analysis -

최무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and legal status as well as problems that are becoming noticeable in Korea's increasing regulation of 'public risk', and provides institutional measures for adequate management and control of risk from a regulatory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measures, First, the concept of risk as well as risk analysis must be clearly defined, and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risk analysis procedures and composition factors. Second, in order for risk analysis to be practically utilized, a certain level of legal mandates are necessary. Third, vitalizing communication within the field of regulatory risk is necessary becaus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RIA is the noticeable bias in opinion due to weak procedures of public consultation. Four, risk analysis infrastructure such as political will, expertise and funding is necessary for risk analysis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Finally, in the long term a government-wide RIA and risk analysis assessment agency or office must be installed.

한국어

본 연구는 위험 및 안전 분야의 현행 규제영향분석제도의 문제점을 규제담당 공무원와 전문가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위험분석을 포함하는 규제영향분석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규제영향분석 및 위험분석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여 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공무원들과 전문가들은 현행 규제영향분석을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세부적인 설계와 구성요소, 절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위험 및 위험분석 정의의 명확화하고, 위험분석의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위험분석이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 이상의 법정화는 필수적이다. 셋째, 특히 위험규제 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위험분석이 확대되어지기 위해서는 위험분석의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으로 전정부적인 규제영향분석 및 위험분석 평가부서의 설치를 추진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위험 및 안전분야 규제영향분석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위험 및 안전 분야의 규제영향분석의 의의
  2. 위험 및 안전분야의 위험분석제도
  3. 위험 및 안전 분야의 규제영향분석의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1. 조사의 개요
  2. 조사의 대상 및 방법
  3. 조사지의 구성 및 내용
 Ⅳ. 분석결과
  1. 규제담당 공무원 및 전문가 설문조사의 결과
  2. 전문가 조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무현 Moo Hyun Choi. 상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행정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