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ied to express the creative and unique formativeness harmonized with modernity by creating the unique formative beauty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folk painting of Korea using air brush techniques, as the creative and dynamic work. The analysis on the production of work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oretic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the methodology. The air brush technique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works. The motives as the materials were flowers, birds, tigers and carps of Korea among folk painting materials. Those motives were expressed using the air brush technique. The analysis results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fixed frame was intentionally emphasized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formative symbolism through the analysis on the spacial structure in the works. For the spacial structure in a tiger drawing, an oval arrangement, S-shape structure for themes, density and expandibility of space depending on the angle of view were identified. Encroaching into a screen was emphasized by arranging a tiger in the center. Second, the intentional repetition of themes in Morando(peony drawing) expressed the materialized formative features expressing the emotion of symbols rather than the creative structure of a realistic and natural individual. Next, the vertical, horizontal and streamlined complexity was expressed in Hwajodo(drawing on flowers and birds) by coloring without blank which tended to emphasize the symbolism of each object and be slightly decorativ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세화에 감춰진 고유의 조형적 美를 표출, 소재로 선택하여 에어브러시 기법으로 현대와의 조화로움과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조형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세화를 중심으로 작품 제작에 필요한 디자인 모티브는 꽃, 새, 잉어, 호랑이를 선정하였다. 세화의 특징을 살린 네일아트 작품 제작을 위해 섬세하고 정교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에어브러시 기법을 활용하여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에 표현된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조형적 상징성의 의미에 비중을 두어 고정된 틀을 의도적으로 강조하였다. 호랑이 그림에 표현된 공간구성을 보면 타원형의 배치와 주제의 S자형 구도, 시선의 각도에 따른 공간의 밀집과 팽창성, 호랑이를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오는 화면의 전체적 잠식성을 강조하였다. 여백 없는 강인함과 엄격함의 분위기에 공간구성은 동시성의 부분을 강조하였다. 둘째, 작품에서 표현된 의식적인 주제의 반복적인 되풀이를 통해 사실적이면서 자연주의적인 개인의 창의적인 구도보다는 상징물의 감정을 잘 드러나게 하는 유형화된 조형적인 특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작품에서 각 사물의 상징성의 강조와 다소 장식적인 경향의 여백 없는 채색을 통하여 수직, 수평, 유선형의 복합성을 표현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한국의 세화
2. 네일아트(Nail Art) 개념 및 표현기법
Ⅲ. 세화의 특성 및 표현 방법
Ⅳ. 세화를 활용한 네일아트 에어브러시의 조형성
1. 작품 제작의도 및 해설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