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 後期 文人들의 中國繪畵 認識에 관한 연구 - 董其昌의 美意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关于朝鲜后期文人对中国绘画认知的研究-以董其昌的审美意识为中心-

조선 후기 문인들의 중국회화 인식에 관한 연구 - 동기창의 미의식을 중심으로 -

한경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조선후기 화단은 중국에서 전래된 회화양식에서 벗어나 그림의 주제와 양식에서 조선적인 회화로 발전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적인 회화의 전개라는 상황 속에서도 중국 南宗文人畵의 본격적인 수용은 중국 회화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던 조선후기 화단의 주요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조선후기 董其昌 화풍의 전개에 있어 중국의 대표적인 畵派 중 하나인 吳派畵風의 유입은 조선후기 문인화풍과도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작품들 가운데 吳派화풍의 요소가 보이는 작품들을 통해 동기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吳派의 영향이 조선후기 문인화가들에게 폭넓은 수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吳派를 비롯한 넓은 의미로의 중국 회화의 수용과 인식은 중국 화보류의 보급과 중국 서적문화에 대한 조선 문인들의 지식이 확대되었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나아가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鑑賞之學의 영역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書畵古董 취미와 鑑評活動의 확산은 조선후기 문인문화의 성숙과 발전에 기여했다. 조선후기 문인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동기창의 서화자료를 감상했으며, 동기창의 영향은 조선후기 화단에 저변화되어 畵題로 이용된다거나 倣作되어 동기창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었다. 동기창의 繪畵美學思想은 山水傳神과 士氣의 중시라고 할 수 있다. 동기창은 후천적인 氣韻生動의 경계를 강조했으며, 조선후기 李夏坤은 자연 대상으로부터 회화가 갖는 인식으로서 대상의 내면적 진실을 찾아내고 傳神的 경지에 도달해야 함을 추구한 것에서 볼 때, 동기창과 이하곤의 山水傳神의 美意識은 유사함을 보인다. 또한 동기창이 山水丘壑의 정취로서 士氣를 중시했던 점과 南公轍이 중국 화론과 관련하여 士氣를 언급한 것에서 볼 때, 동기창이 제시한 尙南貶北論이 조선후기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士氣는 조선후기 南宗文人畵의 단면이자 審美意識의 기저였다.

중국어

朝鲜后期画坛已脱离了从中国传播过来的绘画形式,在绘画的主题与形式上已进入朝鲜特有的绘画时期。即使在此种朝鲜绘画逐渐发展的格局下,也全盘接受了中国南宗文人画,中国绘画对其影响也未中断过,这也是朝鲜后期画坛的主要特点。朝鲜后期董其昌画风的扩散以及中国最具代表性的画派之一-吴派画风的引入也与朝鲜后期文人画风也有直接联系。进而通过此时期的作品中吴派画风作品,不仅有利于理解和认识董其昌,而且可看出朝鲜后期文人画家积极接受了吴派的影响。并且接收和认识以吴派为代表的中国绘画也与朝鲜文人增加了对中国书籍文化的知识有关。进而形成了以更为专业知识为背景的鉴赏之学领域,对书画古董的兴趣以及键评活动的扩散也影响了朝鲜后期文人文化的成熟及发展。朝鲜后期文人通过多种渠道鉴赏了董其昌的书画资料,朝鲜后期画坛已将董其昌的影响作为基础化,或作画题或仿作,由此对董其昌的认识已逐步扩散。董其昌的绘画美学思想特别注重上海岁传神与士气。董其昌强调后天性气韵生动的境界,而朝鲜后期李夏坤以自然取材绘画认知,找出对象的内面真实,追求达到传神境界,由此看出董其昌与李夏坤的山水传神的审美意识非常类似。并且董其昌非常重视山水丘壑的情趣之士气,而南宫辙也提及到与中国画论相关的士气,由此可以推论董其昌所所主张的上南贬北论也影响了朝鲜后期画坛。士气是朝鲜后期南宗文人画的截面和审美意识的基础。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朝鮮後期 畵壇의 中國繪畵의 受容 樣相
  1. 吳派畵風의 수용과 전개
  2. 書畵古董 취미와 鑑評活動의 확산
 Ⅲ. 朝鮮後期 文人들의 中國繪畵에 대한 認識
  1. 董其昌 畵風의 이해와 확산
  2. 山水傳神의 중시
  3. 士氣의 중시
 Ⅳ. 결론
 <참고문헌>
 <論文摘要>

저자정보

  • 한경애 韩敬爱.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