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六朝時期 山水畵에 미친 佛敎의 영향 - 宗炳의 山水畵論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Impact of Buddhism on a landscape drawn in black and white from the Six Dynasties(六朝) - Focusing on landscape painting theory of Zōngbǐng (宗炳) -

육조시기 산수화에 미친 불교의 영향 - 종병의 산수화론을 중심으로 -

이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chinese paintings, the Six Dynasties was the developing period of landscape painting drawn in black and white. The thoughts behind it were mainly Taoist,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uddhist lor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esthetic appreciation. Therefore, Buddhist lore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in the study of landscapes from the Six Dynasties. The earliest text on landscape paintings written is 󰡔Essay on Painting-Landscape(畵山水序)󰡕by Tsung P'ing and 󰡔Introduction of Painting (敍畵)󰡕by Wang Wei(王微) at the end of the Jin and the beginning of the Song Dynasties. Generally in the study of landscapes, the view of nature of Taoism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s, focusing on the thoughts of Lao-tzu and Chuang-tzu, and closely correlated to Buddhist lore. Furthermore it also absorbed Confucianism to take the lead in a literary's painting. In fact, Tsung P'ing was a Buddhist scholar who was well-versed in the thoughts of Lao-tzu and Chuang-tzu as well,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teacher Huiyuan(慧遠). Buddhist lore gave rich support to the literary's painting on the basis of existing thoughts of Lao-tzu and Chuang-tzu and, during the Song Dynasty, Zen Buddhis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flourishing. Thes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Buddhism formed the artistic conception(意境), which in the end became the main thought of the Chinese aesthetics. This study reported on the impact of Buddhist lore on Tsung P'ing's painting by investigating his painting theory, and considering the thoughts of aesthetics and appreciation of the beauty of that period by studying ideas and thinking of Buddhist lore.

한국어

중국 회화에서 육조시기는 산수화의 태동기이다. 그 사상적 배경으로 道家 사상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한편으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佛學은 심미의식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불학은 육조시기 산수화를 고찰하는데 소홀이 취급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시기 저술된 최초의 산수화 이론서로 晋末宋初, 宗炳의 『畵山水序』와 王微의 『敍畵』가 있다. 일반적으로 산수화를 연구하는데 老莊을 중심으로 道家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그 성향을 규정지어 왔으나, 산수화는 노장사상뿐 아니라 佛學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나아가 儒家의 사상도 흡수하여 문인화의 단초를 마련하기도 한다. 실제로 종병은 노장과 유교에 정통하면서 불교학자이기도 한데, 그의 스승인 慧遠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佛學은 기존의 노장사상과, 유교의 토대위에 더욱 풍부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으며, 송대에 이르러 선종사상은 문인화의 흥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유ㆍ불ㆍ선의 사상적 배경은 중국문화에서 意境의 개념을 형성하게 되고, 종국에는 중국미학의 핵심으로 자리 잡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종병의 화론을 중심으로 당시 佛學이 그에게 미친 영향을 그의 화론 속에서 찾아보고, 불학의 사유방식과 이상을 살펴 당시 산수화의 미학사상과 심미의식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佛學에 나타나는 용어의 미학적 개념
 Ⅲ. 종병에게 내재된 삼교의 사상적 배경
 Ⅳ. 종병에게 “神明”의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광수 Lee, Kwang-su.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