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jasago, hreafter "APHS"), which introduced by the last Lee Myung-bak administration, bring meaningful changes in the school level, using institutional theoretical framework and multiple case study method. For this purpose, four APHSs of Seoul, Kyunggi, and Incheon areas were selected with permission of the principals an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APHSs, moved from previous general high schools to APHSs, are struggling with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strong institutional environments, regulation on the selection of candidates, teacher personnel system, and frequent controlling practices of higher administration offices. On the contrary, the newly established APHS is trying to overcome the influence from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s by settling exceeding educational conditions and strong exercise of principalship, which are fully supported by the foundation. Second, although the four APHSs commonly has acquired some autonomy in the area of curriculum and finance, this kind of autonomy is able to be realized only when fully qualified teachers are participating in several reformative changes of the schools. Third, as a new type of high schools, psychological apprehension and environmental instability around how long the APHS system can survive is working as hindrance to the stable development of the APH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한국어
이 연구는 지난 이명박 정부가 도입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하 “자율형 사립 고”)가 단위학교 수준에서 의미있는 변화와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지를 제도주의 관 점에서 다중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인지역에 소재한 4개 자율형 사립고들을 대상으로 그 학교들이 환경적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 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존 일반 고교에서 전환한 3개 자율형 사립고들은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여전히 제도적 환경, 즉, 신입생 선발, 교원인사, 기타 교육당국으로부터의 빈번한 각종의 규제와 통제로부 터 상당한 학교운영 상의 제약을 받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신설 자율형 사립고는 제도 적 환경의 영향을 교육 여건의 우수함과 학교장의 리더십을 통해 돌파함으로서 새로 운 학교운영의 패턴을 도출하고 있었다. 둘째, 공통적으로 교육과정과 재정운영에서의 자율성은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율성 역시 자질이 높은 우수 교원의 확보라는 인적 인프라를 갖추었을 때 빛을 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새로 운 학교유형으로서 자율형 사립고가 과연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한 심리 적 회의감과 환경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학교의 방향성 있는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분석의 관점
1. 선행연구의 검토
2. 분석의 관점
Ⅲ. 연구방법
1. 질적 사례 연구
2. 연구 대상학교들의 특성
Ⅳ. 연구결과
1. 제도적 환경과 그 영향
2. 여전한 대학입시의 영향력과 전략적 선택
3. 자율성 확보와 성과의 창출 정도
4. 불확실성과 지속가능성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