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원문정보

The proposition of the directions about convergence-based courses and basic-convergence subjects for systemed convergence education

김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rue that concurrent social phenomenon cannot be understood in a single academic framework since modern society lies on complicated environment. To facilitate persons who can lead complicated society, new types of education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implicate innovative insights and capabilities. A single notion of academy and segregated scholastic system are difficult to provide human resource satisfying the needs of complicated society.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is highlighted since it provides innovative socio-insight by emergence of different disciplines. Because of this, numerous universities suggest convergence education as an education tool to comprehend new streams of social phenomenon. However,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only provides a single course which aggregates inter-dependent classes or solely independent classes which m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lthough indeed these two types of education take major rol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some considerations might subsequently follow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tabilize obj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s. Taking various discipline related courses or practicing concurrent situation through multiple scholastic methods would not guarantee to student possess capability to understand new phenomenon and required knowledge. Thus, the universities need to response both desires of society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rationale object of convergence education establishing basic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classes for driving great impa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a way of establishing convergence education implicating on principle of convergence and its phenomenon. This will implicate hinges betwee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convergence education. To do this, the research employs limitations of respected literatures, current stat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to provide a guide line of establishing basi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한국어

현재의 사회현상들은 기존의 단일 학문들로는 해석이 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현상에 적응하고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과 역량을 가진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일학문 또는 분화된 학문 체계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문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해진 것이다. 때문에 많은 국내·외 대학에서는 현상을 새롭게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는 학문으로 ‘융합’을 제안하고 교육으로 실현하고 있다. 융합교육이 전체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철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에게 교과과정에서 여러 학문에 관련된 수업을 듣도록 하는 것만으로 또는 현재의 현상을 여러 학문을 통해 해석해보는 연습을 시킨다고 해서 학생들이 앞으로 벌어질 새로운 현상을 해석하고 필요한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할 사회에 대비하고자 할 때,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만족시키면서 융합교과의 특징을 충실히 반영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완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융합교육과정 안에서 기초적인 융합소양을 키울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를 설계하여 융합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의 현황을 점검하여,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교양과목으로 융합의 원리 및 융합현상 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교육과 융합교육의 연결고리를 만들어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분석하였던 현재 융합교육의 현황 및 한계, 융합교과의 요건 및 원칙 등을 통해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작은 초석이 되어 각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융합교과를 개설하고자 할 때 보다 쉽게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융합교육의 현황과 한계
 III. 융합교육의 방향
 IV. 기초융합교과 설계의 방향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영 Kim, Hye Young. 숙명여자대학교 리더십교양교육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