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 방안-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low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Based on the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김순임, 이효성, 김현정, 서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 the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CNU) that has reorganized 2011 to 2014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moted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for substantiality of Liberal Education through 'Center for General Education' since 2010. Also, this study will revel the features of Liberal Education of CNU and explore development strategies for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ies. The feature of Liberal Education at CNU is struggling to keep substantiality of core liberal arts that students have to take more than 1 subject(3 credits) in each of 4 Core Liberal Arts areas. Also, CNU is running various programs in order to explore development strategies and induce reform of Liberal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substanti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universities have to properly establish the nature and role of the Organization that is managing Liberal Education as well as reinforcing the power of it in order to promote substantiality and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In addition, they have to reorganize system which is the compleion of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t means students should take liberal arts during 4 years though distributed completion system With revamps of system, they need to develop unique liberal arts including spirit and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한국어

이 연구는 2010년 이후 대학 교양교육 체제를 정비하고 교양교육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전남대학교 사례를 분석하여, 전남대학교 교양교육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남대학교는 기존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해 2011-2014학년도 교양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양교육 전담기구인 기초교육원 교양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하면서 다양한 교양교육 내실화 정책을 마련했다. 이러한 전남대학교 교양교육은 크게 교양 필수 영역인 핵심교양 교과목을 내실화하고, 교양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장기적 차원의 개혁을 유도하기 위해 교양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와 같은 전남대학교의 교양교육 특징을 살펴볼 때, 대학의 교양교육의 내실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교양교육 전담기구의 역할 강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양교육 전담기구의 성격과 역할이 제대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4년간 교양 교과목을 분산 이수하거나 대학 정신과 특성을 살린 교양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등의 교양교육 이수 체계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전남대 교양교육 체제 및 현황
  Ⅱ.1. 교양 교육과정 구조
  Ⅱ.2. 교양교육 내실화 정책
 Ⅲ. 전남대학교 교양교육 특징
  Ⅲ.1. 핵심교양 교과목 내실화
  Ⅲ.2. 교양교육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Ⅳ.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Ⅳ.1. 교양교육 전담기구 역할 강화
  Ⅳ.2. 교양 교육과정 이수 체계 정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순임 Kim, Sun Im. 전남대학교 독일언어문학과.
  • 이효성 Lee, Hyo Sung. 전남대학교 독일언어문학과.
  • 김현정 Kim, Hyeon Jeong. 전남대학교 독일언어문학과.
  • 서명희 Seo, Myung Hee.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양교육지원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