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계열 교차적인 교양과목에 대한 수강생들의 학문배경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변화 양상 - 심리학 개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ifferent Patterns in Academic Achievement That Depend upon the Academic Background of Students Taking a Cross-tracking General-education Course, Introduction to Psychology

신맹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neral-education courses are believed to offer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whole-person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reality of the Korean college education indicates that students taking cross-tracking general-education courses have a probability of a decline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A) for the courses due to a little of basic knowledge regarding their cross-tracking courses that is presumably attributable to their little chance of intensive academic training on them since their high school days. In the present study, AA was examined in ‘Introduction to Psychology’ course that enables all the registered students to experience contents for both natural sciences (NS) and liberal arts (LA) tracks. The present data analyses targeting scores for midterm exam, final exam and the sum showed that students from the LA track were generally superior to those from the NS track in the AA. Specifically, whereas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for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i.e. midterm exam scores) between the NS versus the LA students, scores for the second half (i.e. final exam scores) were higher in the LA than in the NS students.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xam scores between the two academic tracks on almost every academic grade pair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in midterm exam scores between them on any grade pair. Converging lines of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AA has primarily arisen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cks in the final exam scores on every academic pair. In addition, the current data showing that AA for NS students is inferior to that for LA students in the final exam scores but not in the midterm exam scores suggest that NS students may have a relati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tents for the second half of the course that are believed to be more related to LA. Furthermore, a probe of simple effect within the NS students found that students in higher grades were inferior in AA to those in lower grad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not only an intensiv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college logical thinking should be more effective when provided during students’ lower grades but also steady efforts by higher graded studen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the observation that LA students were not inferior in the first part of the course seems to have resulted from an enhancement of their memory consolidation through sufficient further discussions on related topics.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general-education providers should recognize an already existing difference in cross-tracking AA and accordingly establish efficient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fit for students taking cross-tracking general-education courses. Some related desirable strategies a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한국어

전인적 교육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교양교육에서 수강생들이 자신의 계열과는 학문적 배경이 다른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고등학교 때의 계열 선택성이 대학까지 지속되는 특성이 있는 국내의 교육 시스템을 고려할 때 계열 교차적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들이 해당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서 부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연구에서는 수강생들이 자신의 계열은 물론 타계열의 내용까지도 경험할 수 있는 심리학 개론에서의 학업 성취도를 살펴보았다. 현재의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문과계열 수강생들에서 이과계열들에서보다 학업 성취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이과계열에 더 가까운 전반부의 내용에 대한 학업 성취도(중간고사 점수)에서는 문이과계열 간의 차가 없었지만 문과계열에 더 가까운 후반부에서는 문과계열 수강생들의 성취도(기말고사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기말고사 점수에서는 거의 모든 학년에서 계열차가 있었지만 중간고사 점수에서는 전학년에서 그렇지 않았다. 통합적으로 이들 결과는 계열 간의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의 차가 거의 전학년의 기말고사 점수에서의 차에서 기인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과생들이 전반부에서는 문과생들만큼 성취도가 좋았으나 후반부에서는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결과는 이과생들이 논리적 사고를 더 강조하는 문과계열적인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이과계열 내에서는 중간 및 기말고사 점수에서 고학년생들이 저학년생들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게 나온 결과는 학부생들에게 저학년 때에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논리적 사고에 대한 훈련이 수행되어야 함은 물론 고학년 때에서도 꾸준한 논리적 사고 훈련이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 한편, 전반부의 내용에 대한 이해에서 문과계열생들이 저조하지 않는 이유는 더 심층적이고 충분한 토론을 통해 그들에서 기억 응고화가 촉진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들 관찰과 해석은 교양교육 제공자가 이미 존재한 국내 대학생들의 계열 교차적인 학업 성취도의 차를 인식하고 타계열 수강생들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과 교육 계획을 설립하고 적용해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본연구의 논의에서는 몇 가지의 방안이 제시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Ⅱ.1 연구 대상자
  Ⅱ.2 수업 절차
  Ⅱ.3 시험 내용의 구성 및 시험 절차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맹식 Shin, Maeng-Sik.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