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원문정보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Common Curriculum

서향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its severity recently the area of environment in the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has become crucial and come to the fore newly. It is probably because environmental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human survival in the future and ‘education’ is expected to perform a central role in all the areas as a long-term and fundamental countermeasure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 re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ublic sector of education, such as schools or universities, presents the phenomenon of marginalization and reveals clear discords or gaps between the philosophical aims and practical progra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rowth of modern education system has been based on the paradigm of classical physics,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rn scientific era. If so, to which direction does environmental education, as basic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in the society of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proceed? With a critical min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methods and alternatives: First, this study indicates and criticizes that fundamental blame for the environmental crisis of today is i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s the paradigm of separatism, namely a dominant and mainstream world view of the West,and presents an educational method of methodological holism as the paradigm of modern physic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vism. Second, focusing on J. Miller, a proposer of holistic education that is connected with methodological holism, this study examines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nts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n establishes the base of direction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among ‘organic body holism’ and ‘organic holism’, classified by Han Myeon-hui of Korea, this study indicates that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proceed with organic holism. Third, as the contents of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method of which ideology is eco justice and the eco-sensibility to which Emmanuel Kant’s sensibility theory is applied. Fourth, as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e education of ecological new method of living according to the model of Lucas who systematically categoriz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72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NAAEE (1996). All the global community members’ conversion of consciousness via their self-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possible when they are mature via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based on holism of which core contents are rationality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the value system/world view of nature-friendly paradigm that cultivates ecological wisdom of including sensibility and spirituality.

한국어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에서 환경관련 영역은 그 중요성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환경교육이 미래 인간생존과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으로 ‘교육’이 모든 부문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학교와 대학등 공교육 부문의 현실에서 환경교육은 주변화되고 환경교육의 철학적 목적과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 간에는 명백한 불일치와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근대 교육제도는 바로 근대 과학시대부터 발전한 고전물리학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그렇다면 산업문명사회의 대학에서 교양 기초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 되어야 하는가? 여기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에선 다음과 같은 방법과 대안을 주장하였다. 첫째, 서구에서 주류를 이룬 지배적 세계관인 분리주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개체론은 오늘날 환경위기의 근원적 책임이 있다고 지적 비판함으로써 여기에 연계주의적 성격을 갖는 현대물리학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전체론의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전체론과 연결되어있는 홀리스틱 교육의 제안자인 존 밀러( J.Miller)를 중심으로 이교육의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내용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의 방향과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내 한면희가 분별한 유기체 전일론과 유기적전체론 중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유기적 전체론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셋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내용은 생태정의(eco justice)를이념으로 한 학문 연계적 방법과 칸트의 감성이론을 적용한 생태적 감성(ecosensibility)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네째, 환경교육의 목표는 북미환경협회(NAAEE,1996)정의에 따라 1972년 환경교육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한 Lucas의 모델에 따라 생태학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의 실천교육을 제시하였다. 지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의식전환은 교육을 통해 성숙되어질 때 가능하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방향은 생태의식을 배양해 줄 수 있는 합리성(이성)교육과 감성과 영성의 요소까지 담고있는 생태지혜를 길러주는 자연친화적 패러다임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는 홀리즘에 기반을 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방법론적 개체론과 전체론
 III. 홀리스틱 교육
 IV.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내용과 목적
 V. 홀리즘에 기반한 환경교육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향숙 Seo, Hyang Suk. 협성대학교 교양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