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양교육의 실용성 문제에 관한 재고(再考)

원문정보

Reconsidering the Issue of the Practicality of General Education

김성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ought to find major implications of the Western educational hist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so that we may find proper answers to the practicality issue of general education. In this historical research we first found that both faculties of education are deeply inter-related to each other. This inter-relatedness is not surprising as they are just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human beings. Thus it is no wonder that some educators tried to integrate the two educational areas. However, our historical inquiry has also found that the integration of the two faculties has caused numerous problems. Often such integration ended up with the dominating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 difficulty of the integration may not only be due to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but also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two areas of education have mutually exclusive goals and values.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is to find the essential values and essence of human beings apart from their practical values. It was not possible to pursue two mutually exclusive goals within the same educational processes. Third, as a result of the foregoing observation, it may be necessary to separate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educational faculties. Of course, there are educational theorists who claim the structural integration of the two. However, if we look into their theories closely, they presuppose a monistic ontology that is either very limited or reductionistic. Most of the professional and scientific educations follow such an ontology, accordingly reducing human beings into either sensory perceptions, practical activities or even mere matters. It should be the role of Humanities and general education to overcome and warn such a limitation of practical education. And for that matter, the systematic separation of the two are in order. Fourth, gener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supplement each other. Considering both the essential connectedness and necessary independence of the two areas, inter-disciplinary or convergent education is requested. In this cas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hould take the form of comparative-studies rather than consilience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respective area to be maintained. Through the mutually supplementary efforts participants may experience different perspectives and values of the other faculty, which may help expand the limited frame of their own academic reference. Fifth, the Western educational history also shows us that the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over time. This teaches us that gener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Korea should not copy others and should be relevant to our time and culture. Thus we are invited to pursue Korean general education, and further, to ask a more fundamental philosophical question regarding the essential nature and values of Korean people today. This naturally calls for the collective efforts of educators in the general education faculty who represent various humanistic perspectives. Finally this paper also claims that there are emphatic points of general education for each generation. Each historical era shows different human values and natures it neglected as well as highlighted. General education is endowed with the mission to emphasize those neglected humanistic values to recover the balance and wholeness of humanity for each generation. Thus today’s general education should also develop and teach those neglected values as proper contents of education.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is increasing today as the influence and dominance of science are increasing. The knowledge of science is a blind knowledge in and of itself in the sense that it may either help or destroy human race depending on its use. The scientific knowledge alone is not enough for us. We also need wisdom of how to use it. This wisdom is provided by the knowledge of general education, for it is this general knowledge that seeks and defines the true human nature and values. Though its results are not readily proven and long and hard is its journey, general education asks the important question of meaning of our knowledge and makes us humble. It will then help us avoid the disasters that will be brought upon us by all the practical pursuits of ourselves who are bound up with the capitalistic pursuit of interests.

한국어

이 논문은 서양교육의 역사에 나타난 교양인문교육과 실용적 교육 간의 관계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양교육의 실용성 문제에 대한 해답과 대안을 찾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역사적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먼저 두 교육영역이 깊이 상호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한다. 이 두 영역 모두가 하나의 인간존재에 연결된 것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상호연관성은 놀라운 것이 아니며, 일부 교육철학자들이 이 둘의 통합을 교육적으로 시도하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서양교육사에서 이 두 교육영역의 통합은 여러 문제들을 낳았으며 종종 실용적 교육의 승리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것은 전문적 전공교육이 실용적으로 유용하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이 두 영역이 근본적으로 상호 배타적인 목적과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교양교육의 목적은 실용적 가치와는 무관하게 인간이 지닌 본질적인 가치와 본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호간에 배타적인 두가지 목적을 하나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찰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의 학제적 분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 두 교육영역의 통합을 주장하는 교육 이론가들도 있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을 가까이 들여다 보면, 그들은 일원론적이거나 환원주의적인 인간관을 전제하고 있다. 많은 전공교육이나 과학교육이 이러한 존재론을 따르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인간을 감각적 인식이라든지 실용적 활동이나 심지어 물질로 환원시키고 있는 것이다. 인문학과 교양교육은 실용적 교육이 지닌 이러한 제한성을 극복하며 경고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학제적 독립성이 필요하다.그런데, 학제적으로 분리된 교양교육과 실용교육이 서로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도 우리가 도달하게 되는 또 하나의 논리적 결론이다. 두 교육 영역 간의 본질적인 연관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서로 간에 필수적인 독립성을 가지려 한다면, 간학제적 혹은 융합적 교육의 노력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간학제적 교육은 통섭(consilience)이 아니라 각각의 영역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비교연구의 형식을 취해야 할 것이다. 상호보완적인 이러한 융합교육을 통해서 참여자들은 다른 교육영역이 가진 다른 관점과 가치들을 경험하게 되고, 그들이 가진 제한된 지식의 틀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서양교육의 역사는 또한 교양교육의 내용이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것은 21세기 한국에서의 교양교육이 다른 시대나 문화의 교육 내용을 복제해서는 안되며, 우리의 시대와 문화에 적절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적 교양교육을 추구하도록 초청받으며, 더 나아가서 오늘날 한국인들의 본질적 속성과 치들에 관한 좀 더 근본적인 철학적 질문을 하도록 요청받게 된다. 이것은 다양한 인문적 가치들을 추구하는 교육자들의 공동 노력을 요구하는 일 이다.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각 시대마다 교양교육의 강조점들이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각각의 시대는 인간의 가치와 본성에 있어서 강조하는 것들과 소홀히 하는 것들이 있다. 교양교육은 이 시대에 경시되고 있는 인간적 가치들을 강조할 소임이 있다. 이를 통해서 이 시대는 인간성의 균형과 전인성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교양교육은 소홀히 되고 있는 이러한 가치들을 적절한 교육의 내용으로 계발하고 가르쳐야 할 것 이다.과학의 영향과 주도성이 늘어가고 있는 오늘날 교양교육의 역사적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과학적 지식은 그 자체로서는 눈먼 지식이며, 그것의 사용 여하에 따라서 인간을 돕기도 하고 인류를 멸망시킬 수도 있다. 과학적 지식 만으로 우리는 충분하지 않다. 그 지식을 사용할 지혜를 우리는 또한 필요로 한다. 이 지혜는 교양인문학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참된 본질과 가치를 추구하고 규정하는 것이 교양지식이기 때문이다. 비록 그 결론들이 즉시 증명되지 못하고 그 과정이 지난할 지라도 교양교육은 지식의 의미를 묻는 중요한 질문 가운데 인간을 겸손하게 한다. 그래서 교양교육은 자본주의적인 이윤추구에 매인 우리들의 모든 실용적인 추구가 가져올 재난을 예방하는 일에 큰 도움이 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역사에 나타난 교양교육과 실용적 전문교육 간의 관계성
 3. 교양교육의 실용성에 관한 재고(再考)
 4.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원 Kim, Sungwon. 서울신대 교양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