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of China has a very long history. It had made various religion cultures in China during naturalization period. This paper considers the feature and the acculturat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hich came to China from India, on the separated aspects as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娘娘神, the goddess giving offspring in the taoism),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exts on the good de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folklore. The feature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 had develop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at, around the interior of China, through the fusion with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goddess who giving offspring and prosperity in the taoism had changed to Avalokitesvara-Niάng niάng. This means that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as naturalized to China after Chinese had acknowledged Avalokitesvara as the Bodhisattva who helps people's worldly wish. The second is that, around seaside and southern area of China, Tiān hóu-Niάng niάng(天后娘娘, the goddess helping a seaman and a castaway) had changed to the sea god-Avalokitesvara from the fusion with Avalokitesvara. The sea god-Avalokitesvara was also called as the master of southern sea(南海大師), and in A.D. 10-16c, a phenomenon that put the cart before the horse occurred, it was that people acknowledged that Chinese indigenous god, Tiān hóu was born from the pray to Avalokitesvara. I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buddhism, indigenous religion, and taoism disappeared completely, and a new cultural form appeared in China. Secon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he publication of texts on the good deed helped to strengthen chinese people's ethics through interaction. And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d been fused with the activity for worldly prosperity through texts on the good deed. This cultural form is a complex product from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traditional thought on the text on the good deed, and buddhist tantrism. Meanwhile, the boom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brought about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on mysterious experience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e can understand it as the new cultural form produced from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fus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excellently. Thir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ve given many influences to Chinese folklore. We can say that it is the result of buddhist domination toward Chinese people's culture, or the fusion between the Chinese common people' worldly wish and simple hope, and buddhism created different seasonal customs. Original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came about in India, after it was naturalized to China, it was recreated as different forms in popular culture of the day.
한국어
중국에 관음신앙이 유입된 것은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토착화 과정에서 다양한 종교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문화적 변용과 그 특징을,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습합, 관음신앙과 善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 등으로 구분해 살펴보았으며,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우선은 대륙 內地를 중심으로 길흉화복을 주재하고 자식을 관장하는 도교의 여신과 관음이 융합하여 관음낭낭이 된 점이다. 이것은 관음신앙에 중국 대중의 현실적인 소망을 해결해주는 관음으로 인식되면서 대중 속에 토착화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해안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해신인 천후낭낭이 관음과 결합하여 해신관음으로 정착하는 것이다. 해신관음은 남해대사란 명칭으로도 불렸으며, 송․원․명 시대가 되면 본말이 전도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중국의 토착신에 해당하는 해신인 천후가 관음에게 기도하여 태어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불교와 속신, 도교의 간극이 완전히 사라지고 새로운 문화형태가 발생한 것이다. 둘째 관음신앙과 善書의 유행은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중국 민중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는데 일조할 뿐만 아니라 선서를 통한 求福 활동에 관음신앙이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은 관음신앙, 전통적인 선서의식, 밀교 등 복합적인 문화의 산물이다. 동시에 관음신앙의 유행은 의경, 영험록 등 무수하게 많은 유관 서적을 양산하게 된다. 민중구제와 윤리의식의 제고라는 차원에서 전통사상과 관음신앙이 절묘하게 융합된 문화유형이라 볼 수 있다. 셋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이다. 관음신앙의 유행은 중국의 민속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것은 불교사상이 민간의 문화를 지배한 결과라 말할 수도 있지만, 서민대중의 소박한 욕망과 현실적인 소원이 불교사상과 융합해 다양한 세시풍속을 창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관음신앙이란 본래 인도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완전히 중국화 되어 다양한 대중문화의 형태로 재구성된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관음신앙의 중국적 변용과 그 특징
1. 娘娘관음
2. 해신신앙과 융합된 관음보살
3. 善書의 유행과 관음신앙
4. 관음신앙과 민속의 융합
Ⅲ.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