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통불법의 기반으로서 도신의 염불선 -청화 스님의 ‘순선’, ‘안심’, ‘일상’ㆍ‘일행’ 삼매 고찰-

원문정보

Study on seon idea of Daoxin, Pure seon, Ansim, Ilhaeng samadhi of ordinary life on the basis of Wontong Buddhism

최동순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8권 2012.12 pp.99-13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d lifetime history of chunghwa(1923~2003), the age of pure seon, Seon idea of Doxin and its relationship as being a background of the Wongong Buddhism establish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 summarized as following 4 points; First, Chunghwa concentrated on attainment upon ordained Buddhis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started its full swing activity during 1980s. chunghwa is a figure who was bor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passed away witnessed the upheaval of modern Korean history. During his period, there was the 2nd World War, East – West ideological confrontation , and locally, Korean war erupted as a result of sever left-right confrontation. Together with domestic confusion that continued after the war, there was a sever confrontation in the Buddhism society as well in the name of purification. To overcome such ordeal of that age, chunghwa raised the value of wongong buddhism. Second, he verified wongong buddhism as being a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According to chunghwa, Korean priests of high virtue like Wonhyo, Uicheon. has directed already wongong buddhism. But chunghwa regarded Hwaduchamsun the supreme seung seon as a difficult seon-bub(method) that can not be mastered by everyone. chunghwa preached Buddhism of Wonyung & Hoetong embracing all religious branches. He presented the method of attainment capable to be participated by ordinary people not only priest monk but also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length of period of discipline. It proves that the theoretical principle of wongong Buddhism not lef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s Cadence. Third, as being samadhi, the implementation of ilsang. ilhaeng. chunghwa paid attention to ilhaeng samadhi that was established by the priest during pure seon age prior Hyeneung and influenced particularly from the seon idea of Daoxin. Master chunghwa systematized Buddhism method by positioning gi & gwan, Hye & jung being the ordinary life and ordinary behavior of Doxin. The objective of attainment discipline is designed to be concluded to ansim. The meaning of ansim corresponds to the enlightenment of Buddhism. Rather than the world of enlightenment of master, chunghwa delivered the hope & confidence capable to attain ansim (peace of mind) by everyone through discipline of Buddhism. Four the realization of Jeungto (pureland Buddist land). chunghwa seriously proclaimed Yushimjeongto(immaterialism). He emphasized the harmonization to Chan Buddha meditation or (true nature)mindfulness of the Buddha meditation. by everyone. The point konganseon meditative practice as well connects to Chan Buddha-mediation was presented. In conclusion, the aim of chunghwa is to realization of pureland, and clarifies this can be attained by ordinary people by reaching to ansim.

한국어

본 논문은 ‘원통불법’이 성립된 배경으로서 청화(1923∼2003)의 생애사, 순선 시대, 그리고 도신의 선사상과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그 의의를 네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해방 직후 출가하여 수행에 전념했던 청화는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탄생한 청화는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를 살다 간 인물이다. 제2차 세계대과 동서 간의 이념대립이 있었고, 국내에서도 좌우익의 극심한 대립에 이어 전쟁이 발발하였다. 전후 이어졌던 국내의 혼란상과 함께 불교계 역시 정화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대립이 거셌다. 이러한 시대적 질곡을 해소하고자 청화는 ‘원통불법’의 기치를 들었다. 둘째, 한국불교의 특징으로서 (원)통불교임을 확인하였다. 청화는 원효, 의천 등 한국의 고승들이 이미 원통불교를 지향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청화는 최상승선인 화두참선은 누구나 향유하기 어려운 선법으로 보았다. 청화는 제종파를 포섭하는 원융과 회통의 불교를 주창하였다. 禪者들 뿐만 아니라 근기의 차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수행법을 제시한 것이다. 그것은 청화의 원통불교 취지가 ‘대한불교 조계종’의 종지를 벗어나지 않았음을 논증하였다. 셋째, 삼매로서 ‘일상’․‘일행’의 실천이다. 청화는 혜능 이전의 순선시대 조사들이 설정한 ‘일행삼매’에 주목했으며 특히 도신의 선사상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스님은 도신의 일상과 일행을 ‘止’와 ‘觀’, ‘慧’와 ‘定’에 배치하여 선법을 체계화하였다. 그 수행의 목표는 ‘安心’으로 귀결되도록 하였다. 이 안심의 의미는 불교에서 지칭하는 깨침과 동등하다. 조사들의 고원(高遠)한 선기(禪機)의 세계라기보다 누구나 불법 실천에 의해 ‘안심(편안한 마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희망과 확신을 전했다. 넷째, 정토(불국토) 구현이다. 청화는 철저하게 유심정토를 주창하였다. 염불하거나 모두가 (실상)염불선으로 회통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화두선 역시 염불선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국 청화의 목표는 정토구현이며, 이는 대중들이 ‘안심’에 도달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원통불법의 성립
  1. 청화 스님 생애사에 나타난 원통불법의 성립
  2. 원통불법에 내재된 교판적 특징
 Ⅲ. ‘순선안심’ 및 ‘일행삼매’ 채택의 배경
  1. ‘순선’의 채택 배경
  2. ‘일상삼매’․‘일행삼매’의 수용 과정
  3. 도신과 청화 스님의 사상적 영향관계 고찰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동순 Choi, Dong-soon. 동국대(경주) 불교학술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