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Homiletical Study of John Calvin’s Application Paradigm based on an His Pastoral Sermons
초록
영어
Calvin’s pastoral sermons differ from his commentaries in terms of both audience and objective. Recent scholarly attention to Calvin’s commentaries on Scripture still disregards his pastoral sermons. Although Calvin’s sermons as a preacher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they spend little time discussing his application paradigm to equip, edify, and transform his congregation. Hence, beyond academic focus on Calvin’s commentaries and exegesis, expositors need to focus on Calvin’s life-transforming application paradigm in his pastoral context. With this in mind, in this section, I explore Calvin’s four remarkable characteristics concerning his sermon application: (1) hermeneutical principles, (2) application-focused pastoral preaching, (3) threefold purpose of application, and (4) a bridge-building application paradigm. For Calvin, the Holy Spirit must govern the appropriate application paradigm for transforming the audience’s lives for the glory of God. In sum, following Paul and Chrysostom, Calvin shows a dynamic model of a four bridge-building application paradigm on the basis of his hermeneutical principles, threefold purpose of relevance, doctrine-based pastoral applic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s to emphasize five suggestions based on Calvin’s four-bridge application paradigm for the purpose of rediscovering and restoring a reformed application paradigm in Korean churches.
한국어
지금까지 칼빈의 연구가 주로 그의 신학과 기독교 강요 일변도로 진행된 경 향이 있다. 다행히 최근에 칼빈의 주석방식이나 그의 성경 해석학적 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연구의 여명이 밝아오기 시작하였지만 여전히 목회적 설교 내용 자체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진일보하여,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한 개혁주의 변혁적‘적용’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칼빈 설교에 나타난 적용 원리와 특징’ 에 대한 설교학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해 어 떤 적용 패러다임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칼빈 의 설교 분석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적용 패러다임의 핵심 원 리들을 제시하고 한다: (1) 적용의 기초로서 역동적인 해석학적 원리; (2) 적용 지향적 목회적 설교; (3) 적용의 삼중적 목적; (4) 네 다리놓기 패러다임을 통해 조망해 본 칼빈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 그런 다음, 한국 교회 설교 적용 회복을 위한 디딤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연구를 통 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교회는 철저한 주해적 다리놓기를 통한 성령의 의도 곧 저자가 의도한 의미와 적용을 발견하는 칼빈 의‘간결함과 용이함’의 해석과 설교 유산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한국교회는 칼빈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 모델을 따라, 성경 본문 중심적(text-driven), 저자 의도적(author-intended), 청중지향적(hearer-focused) 설교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칼빈의 개혁주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교리적 다리 놓기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넷째, 칼빈의 실제 설교 분석을 통해 볼 때, 칼빈주의 개혁교회 설교 전통은 결코 적실성과 적용이 약점을 가진 설교가 아니라는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 다차원적 적실성 범주(Relevance category)를 현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상황화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다섯째, 성령주도적 변혁적 다리놓기를 통해 설교와 적용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삶과 사회 변혁을 회복해야 한다.
목차
II. 펴는 글
1. Calvin의 적용이 정초하고 있는 해석학적 토대: 이중 음성(vox duplex)에 근거한 Calvin의 적용해석학(applicatory hermeneutics)
2. Calvin의 적용에 초점을 둔 목회적 설교
3. Calvin의 삼중적 적용의 목적
4. 네 다리놓기 적용 패러다임을 통해 본 Calvin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