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학과 중국

한국 근대 초현실주의 시론의 특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surrealism poetic theory

문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West Europe, surrealism in Chosun was unrelated with Dadaism and was unpolitical. Surrealism in Chosun was target of criticism because of its unpoliticality and purity. Then articles about surrealism are divided by two. First is seeing it as trend of literary thought, second is seeing it as literary technique. When they see surrealism as trend of literary thought. surrealism as modern age capitalistic pathology phenomenon is explained to transitional inclination which should be overcome. But, when they distinguish surrealism and Dadaism, they emphasize new order of surrealism and pursuit of sense of values Also, surrealism is analyzed to different thing according to theoretical source. One analyzes it that escape in reality and unpolitical and the other analyzes it that it is new methodology relating with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occasion that see surrealism as technique of creation. Kim Kirim emphasized analytic personality of surrealism, and introduced automatism. Also, He tried to explain surrealism from formal side of language. Lee Siu thought surrealism as new methodology. He insisted tha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urrealism was in cutting of image. Images can not chase the connection to rational logic. He explained that these images bring naturally. This is taking a serious view of subjective psychology of poet. But, he did not explain how the psychology was applied by creation method. These criticisms were distance with actuality creation commonly. The reason is that there were not many works worth applying theoretical standard. And the surrealists did not equip theory of psychoanalysis that analyzed surrealism works. There is connection with a social thougts that laying stress on an order than an instinct or personality.

한국어

조선에서의 초현실주의는 서구와는 달리, 다다이즘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고 정치적인 활동과도 무관하다는 것이다. 초현실주의는 오히려 그것의 비정치성과 순수성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초현실주의에 대한 당시의 글들은, 초현실주의를 문예사조로 보는 경우와 테크닉으로 보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초현실주의를 문예사조로 보는 경우, 초현실주의는 근대 자본주의의 병리 현상으로서, 극복되어야 할 과도기적인 경향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와 달리 초현실주의를 다다이즘과 구별하는 입장에서는, 그것이 지닌 새로운 질서와 가치관의 추구를 중시한다. 또한 이론적인 원천에 따라, 초현실주의는 현실과 유리된 비정치적이고 현실도피적인 것으로 해석되는가 하면, 현실과 연관성을 가진 새로운 방법론이라고 해석되기도 한다. 초현실주의를 창작의 테크닉으로 보는 경우에도 구체적인 시각에서는 차이가 있다. 김기림이 초현실주의를 이미지의 불연속과 단절로 나타나는 창작의 수단으로 생각한 것과 달리, 이시우는 초현실주의를 새로운 방법론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창작에 어떤 식으로 적용될 것인지를 밝히지는 못한 채, 시인의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실제 창작과는 괴리되어 있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이론적인 틀을 적용할 만한 작품이 많지 않았다는 것도 있겠지만, 그것들을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적인 이론 역시 미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본능이나 개성의 자유로운 분출보다 질서와 균형을 중시했던 사회적인 상황과도 연관이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조선에서의 초현실주의 소개
 3. 초현실주의 시론의 특징
  1) 현실과의 연관성
  2) 창작방법론으로서의 초현실주의
  3) 자연발생성, 감성의 심리적인 표출 방식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혜원 Mun, Hye-Won. 아주대 인문학부 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